성장률도 코로나도 최악…진퇴양난 인도
입력
수정
지면A15
경제냐, 방역이냐 '딜레마'인구 세계 2위(13억8000만 명), 국내총생산(GDP) 세계 5위(2019년 2조9355억달러)의 인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속에 최악의 딜레마에 빠졌다. ‘코로나 봉쇄’ 여파로 얼어붙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통제 조치를 조금씩 해제하자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감염 막으려 강력한 봉쇄조치
서비스·제조·건설 40~50%↓
2분기 사상 첫 마이너스 성장
최악 성적표에 통제 완화하자
하루 확진 7만명대로 세계 최다
한국의 인도 수출도 34.5% 줄어
인도 통계청은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23.9%로 떨어졌다고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분기 기준 성장률을 발표하기 시작한 1996년 이후 24년 만에 최저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9년 1분기의 1.7%가 이전 최저 기록이다.2분기 침체는 지난 3월 말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시행한 외출 금지와 이동 제한, 상점 폐쇄 등 봉쇄조치가 직격탄이었다. 농업을 제외한 모든 경제 활동이 뒷걸음질쳤다. 무역·호텔 등 서비스업 GDP는 47% 감소했다. 제조업이 39.3%, 건설업이 50.3% 쪼그라들었다. 자동차 내수 판매는 지난 4월 ‘0’대를 기록하는 등 2분기에 84.8%나 급감했다.
인도의 연간 성장률은 2016년 8.2%에서 2017년 7%, 2018년 6.1%, 지난해 5% 등으로 계속 낮아지고 있다. 지난 1분기에는 3.1%로 내려갔다가 코로나19로 결정타를 맞았다는 분석이다. 한국의 6위 교역국인 인도 경제가 침체되면서 한국의 수출도 타격을 받고 있다. 7월까지 대(對)인도 수출액은 61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4.5% 감소했다.인도는 대규모 경제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금리를 인하했지만 실업률이 급등하고 기업 도산이 속출하는 등 경기는 급속하게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지지율도 3월 93.5%에서 7월 조사에선 78%로 떨어졌다.
제조업 비중 13.8%…농업보다 낮아
인도 정부는 6월부터 쇼핑몰, 식당, 호텔, 종교 시설 등의 문을 열도록 했다. 8월부터는 봉쇄완화 3단계 지침을 발령해 오후 10시~오전 5시 야간 통행금지 해제 등의 조치를 내놨다. 죽어가는 경제를 그냥 놔둘 수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봉쇄완화는 코로나19의 대거 확산으로 이어졌다. 누적 확진자는 1일 현재 368만여 명으로 미국(621만 명) 브라질(391만 명)에 이어 세계 3위다. 확산 속도는 가장 빠르다. 8월 30일에는 하루에 7만9457명의 확진자가 쏟아졌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었던 숫자다. 31일에도 6만992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도 정부는 9월부터 봉쇄완화 4단계 지침을 적용해 수도 뉴델리 지하철 운행을 단계적으로 재개하고, 문화·연예·스포츠·정치 행사도 마스크 착용과 간격 유지 등을 조건으로 허용키로 했다.바이러스학자인 샤히드 자밀은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봉쇄 해제로 긴장이 풀린 사람들이 이제 마스크 착용이나 손 씻기 등 지침을 잘 따르지 않는다”며 “바이러스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인도 정부가 방역을 희생하면서까지 경제 살리기에 나섰지만 이미 하강 곡선을 그려온 경제를 빠르게 반등시키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고 저소득층 비중이 커 수요 회복이 쉽지 않다는 진단이다. 인도의 GDP에서 제조업 비중은 13.8%로 금융·부동산서비스업(29.8%)은 물론 농축어업(17.8%)보다도 작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4.5%로 전망했다. 인도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것은 1979년 -5.2% 이후 41년 만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