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걱정 없는 '金퇴족'…40대부터 격차, 금융자산 평균 1.2억
입력
수정
은퇴 후에도 현 생활수준 유지하는 비결 보니…연금자산 많고 펀드투자 활발
하나금융 보고서 "40대 초반까지 기반 마련 이상적"은퇴 후에도 오늘과 같은 생활수준을 위해 차곡차곡 금융자산을 마련해가는 사람들은 금융자산을 어디에 얼마나 갖고 있으며, 준비는 어떻게 할까.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이들을 '금(金)퇴족'으로 정의하고, 30∼55세 남성 금퇴족의 실제사례를 분석한 보고서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을 9일 발표했다.
우선 금퇴족이 가진 금융자산은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전체 조사대상(9천만원)보다 35% 많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퇴족의 금융자산 규모는 커진다.30∼34세 6천만원, 35∼39세 1억1천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천만원, 50∼55세 3억9천만원이었다.금퇴족은 40세 이후부터 드러나기 시작한다.
40세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 분석대상의 평균(약 8천만원)보다 1억원 이상 많았다.그 차이가 5천만원이었던 30대 후반에 비하면 격차가 2배 이상 커진 것이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펀드·연금·신탁 등의 규모가 전체 금융자산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연령대별로 전체 평균보다 7∼15%포인트 높은 것이다.또 40∼44세 금퇴족은 주식에, 45∼59세는 펀드에 투자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펀드와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 중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같은 연령대 평균에 비해서도 9%포인트 높다.
펀드 투자 규모는 45∼49세일 때가 절정으로, 평균 5천900만원으로 집계됐다.
50대의 펀드 잔액도 5천800만원으로, 40대의 활발한 펀드 투자가 50대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연구센터는 분석했다.만약 부동산(주택연금)이 있다면 금퇴족이 넘어야 하는 문턱은 낮아진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작년 말 기준 3억1천만원 주택연금 기준)을 확보한다면, 50∼55세 금퇴족에게 필요한 금융자산은 당장 3억9천만원에서 2억2천만원으로 줄어든다.
이 경우 주식 투자 비중도 작아진다.
부동산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은 15%에서 8%로 줄어든다.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금퇴족의 모습은 달라진다.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은 소득수준에 따라 1억5천만원(소득 월 300만원 미만)에서 10억6천만원(소득 월 800만원 이상)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소비지출도 늘지만, 국민연금 예상액은 일정 수준 아래에 머물기 때문에 직접 마련해야 할 현금 흐름이 커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센터는 금퇴족처럼 노후를 준비하고자 할 때 현재 모습을 진단할 수 있는 '금퇴족 점수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소득수준별로 금융자산 보유점수와 저축점수를 곱해 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100점 이상이면 '안정권', 70점 이상이면 '양호' 수준으로 분류했다.조용준 센터장은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 게 가장 기본적으로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하나금융 보고서 "40대 초반까지 기반 마련 이상적"은퇴 후에도 오늘과 같은 생활수준을 위해 차곡차곡 금융자산을 마련해가는 사람들은 금융자산을 어디에 얼마나 갖고 있으며, 준비는 어떻게 할까.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이들을 '금(金)퇴족'으로 정의하고, 30∼55세 남성 금퇴족의 실제사례를 분석한 보고서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을 9일 발표했다.
우선 금퇴족이 가진 금융자산은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전체 조사대상(9천만원)보다 35% 많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퇴족의 금융자산 규모는 커진다.30∼34세 6천만원, 35∼39세 1억1천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천만원, 50∼55세 3억9천만원이었다.금퇴족은 40세 이후부터 드러나기 시작한다.
40세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 분석대상의 평균(약 8천만원)보다 1억원 이상 많았다.그 차이가 5천만원이었던 30대 후반에 비하면 격차가 2배 이상 커진 것이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펀드·연금·신탁 등의 규모가 전체 금융자산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연령대별로 전체 평균보다 7∼15%포인트 높은 것이다.또 40∼44세 금퇴족은 주식에, 45∼59세는 펀드에 투자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펀드와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 중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같은 연령대 평균에 비해서도 9%포인트 높다.
펀드 투자 규모는 45∼49세일 때가 절정으로, 평균 5천900만원으로 집계됐다.
50대의 펀드 잔액도 5천800만원으로, 40대의 활발한 펀드 투자가 50대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연구센터는 분석했다.만약 부동산(주택연금)이 있다면 금퇴족이 넘어야 하는 문턱은 낮아진다.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작년 말 기준 3억1천만원 주택연금 기준)을 확보한다면, 50∼55세 금퇴족에게 필요한 금융자산은 당장 3억9천만원에서 2억2천만원으로 줄어든다.
이 경우 주식 투자 비중도 작아진다.
부동산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은 15%에서 8%로 줄어든다.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금퇴족의 모습은 달라진다.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은 소득수준에 따라 1억5천만원(소득 월 300만원 미만)에서 10억6천만원(소득 월 800만원 이상)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소득이 높아질수록 소비지출도 늘지만, 국민연금 예상액은 일정 수준 아래에 머물기 때문에 직접 마련해야 할 현금 흐름이 커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센터는 금퇴족처럼 노후를 준비하고자 할 때 현재 모습을 진단할 수 있는 '금퇴족 점수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소득수준별로 금융자산 보유점수와 저축점수를 곱해 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100점 이상이면 '안정권', 70점 이상이면 '양호' 수준으로 분류했다.조용준 센터장은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 게 가장 기본적으로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