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쇼어링 보조금 경쟁률 11 대 1…日기업 '중국 엑소더스' 속도 낸다

1670곳 유턴기업 지원 신청
중국의 생산공장을 자국으로 이전하려는 일본 기업이 급증해 정부 보조금을 따내려는 경쟁률이 11 대 1까지 치솟았다. 정부가 인센티브를 강화하며 리쇼어링(해외에 진출한 기업을 자국으로 돌아오도록 유도) 정책을 펴는데도 기업들이 좀처럼 호응하지 않는 한국과는 대조적이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지난 7월 말까지 생산 거점 이전 비용의 지원 대상을 공모한 결과 1670건, 1조7650억엔(약 19조8034억원) 규모의 신청이 몰렸다. 이는 1600억엔인 지원 예산의 11배에 달한다.일본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중국에 집중된 생산공장을 자국으로 되돌리는 공급망 재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의 생산공장이 가동을 멈추자 일본에선 심각한 마스크와 의료장비 부족 현상이 벌어져 높은 중국 의존도의 문제점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발표한 1차 코로나19 경제대책에 공급망 재편 정책을 포함시키고 2200억엔의 예산을 배정했다. 중국 의존도가 특히 높은 마스크와 의료용 장갑, 의약품 생산공장을 중심으로 150억엔 한도로 이전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올 상반기 574억엔 규모로 실시한 1차 공모 때만 하더라도 신청 건수는 90건, 신청 액수는 996억엔으로 경쟁률이 2 대 1 수준에 그쳤다. 하반기 들어 기업들의 리쇼어링 수요가 급증한 건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미·중 갈등 격화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지원 대상에 선정된 한 중소기업은 “정부 보조금을 못 받더라도 해외 공장을 국내로 이전할 계획이었다”고 했다.

일본의 분위기는 공급망 재편 정책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한국과는 상반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중국과 베트남에 생산공장을 가진 한국 중소기업 200곳 가운데 한국에 복귀할 의향이 있는 기업은 8%에 불과하다는 중소기업중앙회의 최근 조사를 인용하며 “대부분의 한국 기업은 높은 임금 격차와 수출 시장 접근성, 한국의 노동자 보호 규제를 이유로 생산 거점 이전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