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특허 빼곤 내세울 것이 없다"…AI 코리아의 '외화내빈'
입력
수정
전경련 글로벌 AI 인덱스 분석해 발표한국의 인공지능(AI) 분야 경쟁력이 글로벌 주요국들에 미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디지털 사회를 준비하는 예산을 확대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한국형 뉴딜’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AI 분야 전략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4개국 중 8위지만 일부 항목에서만 고득점
인재 수준, 정부 전략 등은 평균에 못미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5일 국가별 AI 수준을 비교한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 2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된 글로벌 AI 인덱스에 따르면 한국의 AI 생태계 경쟁력은 54개국 중 8위로 나타났다. 한국은 일부 항목에서만 고득점을 받았다. 네트워크 환경과 안정성을 의미하는 인프라 부문, 특허 및 제품의 혁신도 등을 측정한 개발 부문에서는 글로벌 ‘톱5’에 들지만 나머지 분야는 조사대상 국가의 중하위권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한국의 최대 약점은 AI 인재다. AI 조사대상 국가 중 인재 항목의 순위가 28위에 그쳤다. ‘글로벌 AI 인재 리포트 2019’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세계 최고급 AI 인재는 2만2400명이다. 이들의 46.0%(1만295명)는 미국에, 11.3%(2525명)는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이 보유한 최고급 AI 인재는 1.8%(405명)에 불과했다.
정부의 전략 항목은 순위가 더 처진다. 이번 조사에선 54개국 중 31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옥스퍼드 인사이트가 발표한 ‘정부의 AI 준비도 지수’에서도 한국의 위상은 높지 못하다. 2017년 4위였던 순위가 2019년 26위까지 밀렸다. 전경련 관계자는 “중국은 2017년 ‘차세대 AI 발전계획’을 발표하며 3년간 1000억위안(17조원)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며 “반면 한국은 향후 10년간 1조3000억원의 투자 계획만 확정하는 등 AI 산업 지원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 여건 역시 낙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활용 자유도, 해외 인재 영입을 위한 비자 정책, 행정 절차 및 규제 환경 등을 보여주는 운영환경 항목에서 한국의 순위는 30위였다. 스타트업의 규모, 투자 여건 등을 보여주는 벤처현황 순위 역시 25위에 불과했다.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AI 선진국들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인재 확보와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AI 산업 육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