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반도체·OLED로 불똥 튄 미·중 충돌, 全산업 비상전략 세워야

중국 화웨이를 정조준한 미국의 반도체 수출규제가 시작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화웨이에 공급하는 물량을 잃게 됐다. 오는 20일부터는 중국의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위챗에 대한 미 정부의 사용 금지로 중국 내 아이폰 구매가 감소한다면 애플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공급하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OLED로 튀고 있는 미·중 충돌의 불똥이 어디까지 번질지 모를 상황이다.

미국의 조치는 글로벌 시장에서 화웨이를 제거하기로 단단히 결심했음을 보여준다. 파장은 복잡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화웨이가 시장에서 퇴출돼도 샤오미, 오포, 비보 등이 그 자리를 메운다면 한국 기업의 피해가 다소 줄어들 수는 있을 것이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타격을 입더라도 스마트폰, 통신장비 등에서 반사이익 기대도 나온다. 미·중 충돌 속에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가 미국 기업으로부터 잇따라 수주에 성공한 데서 보듯, 비메모리를 키울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하지만 낙관은 금물이다. 미국이 화웨이뿐 아니라 제2 화웨이가 될 만한 중국 기업까지 모조리 손보겠다고 나온다면, 대(對)중국 비즈니스 전략을 완전히 새로 짜야 할지 모른다. 중국이 배제된 분업구도에서 한국과 미국·유럽 기업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공산도 크다. 미국 엔비디아가 영국 ARM을 인수하기로 하는 등 반도체, 나아가 정보기술(IT) 업계의 질서 재편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 벌써부터 달아오르고 있는 게 그렇다.

미·중 충돌이 반도체·OLED에 국한되지 않을 가능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미 대선에서 맞붙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 간 중국 압박 경쟁이 벌어지는 것을 보면, 중국 배제 조치가 전 산업으로 번지지 말란 법도 없다. 미국과 연관된 모든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아예 중국을 빼라는 압박도 가능하다. 해외 플랜트 수주시장의 경우 발주처에서 중국이 제작하는 모듈은 안 된다는 조건을 붙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미·중 충돌이 오래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고 돌파구를 찾으려면 모든 산업이 비상전략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