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대 신용대출 실종?…은행권, 우대금리·한도 축소 검토
입력
수정
급증한 신용대출이 잠재적 금융 위험 요소로 지목되는 가운데 은행권이 대출 총량·속도 조절에 나설 전망이다.
우대금리 폭을 줄여 전체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높이고,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줄일 방침으로 전해졌다.16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연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은행권에서는 신용대출 위험 관리 방안 마련 작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 방안으로 우선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받는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은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우대금리 수준은 은행 상품에 따라 다르나 낮게는 0.6% 정도부터 높게는 1%에 이른다.결국 우대금리 혜택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한 은행의 경우 이달 1일 자로 신용대출 우대금리 할인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다른 은행들이 조만간 신용대출 금리를 비슷한 폭으로만 높여도 현재 금리 범위(연 1.85∼3.75%)를 고려할 때 상징적 의미의 '1%대 신용대출 금리'는 시중에서 찾을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은행들은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을 포함한 특수직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은행권의 신용대출은 통상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진다. 다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봉이 1억5000만원이면 담보 없이 신용대출로만 3억원에 이르는 돈을 끌어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득 대비 한도 비율 뿐 아니라 신용대출 절대 금액이 큰 점도 문제로 거론된다.당국 입장에서는 금융기관의 건전성 관리, 부동산 자금 유입 차단 등을 위해 신용대출 급증세를 진정시키고 대출 총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게 최우선 과제다.
한편, 은행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는 동시에 실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우대금리 폭을 줄여 전체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높이고,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줄일 방침으로 전해졌다.16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연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은행권에서는 신용대출 위험 관리 방안 마련 작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 방안으로 우선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받는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은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우대금리 수준은 은행 상품에 따라 다르나 낮게는 0.6% 정도부터 높게는 1%에 이른다.결국 우대금리 혜택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다소 늦출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한 은행의 경우 이달 1일 자로 신용대출 우대금리 할인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다른 은행들이 조만간 신용대출 금리를 비슷한 폭으로만 높여도 현재 금리 범위(연 1.85∼3.75%)를 고려할 때 상징적 의미의 '1%대 신용대출 금리'는 시중에서 찾을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은행들은 의사·변호사 등 전문직을 포함한 특수직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은행권의 신용대출은 통상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진다. 다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봉이 1억5000만원이면 담보 없이 신용대출로만 3억원에 이르는 돈을 끌어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득 대비 한도 비율 뿐 아니라 신용대출 절대 금액이 큰 점도 문제로 거론된다.당국 입장에서는 금융기관의 건전성 관리, 부동산 자금 유입 차단 등을 위해 신용대출 급증세를 진정시키고 대출 총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게 최우선 과제다.
한편, 은행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는 동시에 실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진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