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투입 당진형 뉴딜 로드맵 수립…대기오염물질 배출 1위 오명 벗는다

지자체 첫 기후 비상사태 선포
태양광·풍력 등으로 제품 생산
'RE100산업단지' 가동키로
국내 대표 에너지 생산도시인 당진시가 한국판 뉴딜사업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사진은 석탄화력발전으로 추진되다 지난 7월 태양광 발전단지로 전환한 에코파워 태양광발전소. 당진시 제공
충남 당진시는 지난달 당진형 뉴딜 1호 사업으로 송산면 일원 45만8900㎡에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RE100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선언했다. RE100산업단지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단지다. 시는 RE100산업단지를 비롯해 2025년까지 1조1315억원을 투입하는 당진형 뉴딜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16일 밝혔다.

정부가 지난 7월 한국판 뉴딜 추진 계획을 발표한 후 당진시가 당진형 뉴딜사업에 선도적으로 나선 이유가 있다. 당진이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 생산도시지만 대부분의 에너지를 석탄화력에 의존하고 있어서다.연간 전력 생산량은 2018년 기준 5009만1366㎿h로 전력 자립도가 무려 416%에 달한다. 하지만 전체 발전 비중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0.3%에 불과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시책 성과

당진의 주력 산업은 철강산업이다. 환경부가 발표한 지난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대형 사업장 상위 열 곳 중 두 곳이 당진에 있다. 이곳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18년 3만9000t, 지난해 2만2000t으로 2년 연속 배출량 전국 1위를 차지한다.

시는 이 때문에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민선 6기에 촉발된 화력발전 추가 건설 계획을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했고,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22개 사업장에 대해 자발적으로 오염물질을 감축하도록 했다.시는 지난해 에너지위원회 설치와 에너지센터 개소에 이어 지난 1월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기후위기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지난 6월에는 시민단체가 참여한 ‘당진시 그린뉴딜 시민대토론회’를 열었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은 당진에서 시작해야 한다”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위라는 오명을 씻기 위해 시민 참여 중심의 지역 주도 당진형 뉴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1조원 투입 당진형 그린뉴딜 투자

시가 지난달 발표한 당진형 뉴딜 로드맵의 대부분은 그린뉴딜을 중심으로 짜여졌다. 30개 선도과제 중 25개가 이 사업에 초점을 맞췄다. 전체 사업비 1조1315억원의 대부분을 그린뉴딜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이 중 RE100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 에너지산업 전환이 대표적이다.

시는 당진시 송산면 가곡리에 2023년까지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유치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구글, 아마존, 애플, BMW 등 240여 개 글로벌 기업은 소재·부품·장비 등을 구매할 때 되도록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제품을 선택하는 RE100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 기업에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해야 유리하다.시는 RE100산단에 그린데이터센터와 에너지전환지원센터를 건설한다. 그린데이터센터는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기존 데이터센터와 달리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재생에너지를 저비용·고효율로 소비하는 친환경센터로 조성하기로 했다.

에너지전환지원센터 역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뤄지는 융복합 공간으로 꾸미기로 했다. 전력 인프라는 태양광 1.75㎿, 바이오매스 10㎿ 등 69.25㎿ 규모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 밖에 친환경에너지 산업에 대한 사회적 경제 조직 육성, 난지섬의 에너지자립섬화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홍장 당진시장은 “전문가 자문과 시민사회 의견을 수렴해 지역 에너지산업 전환을 포함한 당진형 뉴딜사업 로드맵의 실행력을 높이겠다”며 “에너지 신산업 발굴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해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당진=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