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금인상률, 작년보다 더 낮아질 것"
입력
수정
올해 국내 대기업들의 임금인상률이 낮아지는 추세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서 단체교섭 현황과 노동현안을 조사한 결과 임금협상을 끝낸 46개사의 임금인상률(호봉승급분을 반영한 기본급 임금 인상률)이 평균 1.9%였다. 임금협상을 진행 또는 완료한 86개사에서 노조가 요구한 인상률은 평균 4.4%다. 지난해 최종 타결된 수치는 3.1%, 노조 요구안은 6.3%였다.임단협 교섭도 순탄치 않았다. 올해 임단협 교섭이 작년보다 어렵다는 응답이 37.5%에 달했다. 교섭과정이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답은 15.0%였다. 올해 경영실적 전망이 '작년보다 악화'라는 응답은 54.1%로 '작년보다 개선'(21.7%)의 2.5배에 달했다.
한경연은 "올해 기업 실적 부진이 예상돼서 노조측의 임금인상 요구안과 최종 타결 수준이 작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단체협약에는 조합원 인사이동, 징계, 정리해고 등 인사조치와 관련한 노조 합의 요구(15.0%), 인사·징계위원회 노사 동수 구성(12.5%), 노조운영비 지원 요구(10.8%) 등 인사·경영권 관련 내용도 포함됐다.임단협 임금·복지 분야 쟁점은 기본급 인상(66.7%), 복리후생 확대(58.3%), 성과급 인상(20.8%), 정년 연장(15.8%) 등이, 노동 현안 중 기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쟁점은 근로시간 단축(60.0%), 최저임금 인상(47.5%) 등이었다.
대기업들은 유연근로제 확대를 위한 과제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도입절차 개선(68.3%), 긴급상황시 특별연장근로 자동허용(42.5%) 등을 들었다.
노동법과 관련해서는 1년 미만 근로자 퇴직금보장(50.8%), 상시·지속 업무 정규직 고용의무화(30.8%), 정리해고 요건 강화(29.2%), 해고자·실업자 노조가입 허용 등(28.3%)을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위한 시급한 과제로는 직무급 등 공정한 임금체계 개편(37.5%), 경영상 해고요건 완화(25.0%),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확대(21.7%) 등이 거론됐다. 이는 모두 복수응답을 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8월 3∼9월 1일에 매출액 상위 600대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응답기업은 120개사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서 단체교섭 현황과 노동현안을 조사한 결과 임금협상을 끝낸 46개사의 임금인상률(호봉승급분을 반영한 기본급 임금 인상률)이 평균 1.9%였다. 임금협상을 진행 또는 완료한 86개사에서 노조가 요구한 인상률은 평균 4.4%다. 지난해 최종 타결된 수치는 3.1%, 노조 요구안은 6.3%였다.임단협 교섭도 순탄치 않았다. 올해 임단협 교섭이 작년보다 어렵다는 응답이 37.5%에 달했다. 교섭과정이 작년보다 원만하다는 답은 15.0%였다. 올해 경영실적 전망이 '작년보다 악화'라는 응답은 54.1%로 '작년보다 개선'(21.7%)의 2.5배에 달했다.
한경연은 "올해 기업 실적 부진이 예상돼서 노조측의 임금인상 요구안과 최종 타결 수준이 작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단체협약에는 조합원 인사이동, 징계, 정리해고 등 인사조치와 관련한 노조 합의 요구(15.0%), 인사·징계위원회 노사 동수 구성(12.5%), 노조운영비 지원 요구(10.8%) 등 인사·경영권 관련 내용도 포함됐다.임단협 임금·복지 분야 쟁점은 기본급 인상(66.7%), 복리후생 확대(58.3%), 성과급 인상(20.8%), 정년 연장(15.8%) 등이, 노동 현안 중 기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쟁점은 근로시간 단축(60.0%), 최저임금 인상(47.5%) 등이었다.
대기업들은 유연근로제 확대를 위한 과제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도입절차 개선(68.3%), 긴급상황시 특별연장근로 자동허용(42.5%) 등을 들었다.
노동법과 관련해서는 1년 미만 근로자 퇴직금보장(50.8%), 상시·지속 업무 정규직 고용의무화(30.8%), 정리해고 요건 강화(29.2%), 해고자·실업자 노조가입 허용 등(28.3%)을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위한 시급한 과제로는 직무급 등 공정한 임금체계 개편(37.5%), 경영상 해고요건 완화(25.0%),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확대(21.7%) 등이 거론됐다. 이는 모두 복수응답을 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8월 3∼9월 1일에 매출액 상위 600대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응답기업은 120개사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