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3명 중 1명 '코로나19 실직' 경험…정규직의 7배 넘어
입력
수정
직장인 1천명 대상 조사…"비정규직·여성·저임금 노동자 고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진 지난 8개월간 비정규직 노동자 3명 중 1명꼴로 일자리를 잃는 경험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이달 7∼10일 전국 만 19∼55세 직장인 1천명을 상대로 '코로나19 8개월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21일 발표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개월간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전체 평균 15.1%였다.
실직 경험을 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31.3%)이 정규직(4.3%)보다 7배 이상 많았다.세부적으로 보면,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저임금노동자(월 소득 150만원 미만)가 29.9%로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인 고임금 노동자(3.3%)보다 9배 넘게 높았다.
또 실직을 경험한 비율은 여성(20.0%)이 남성(11.4%)보다 높았고, 서비스직(23.7%)과 생산직(21.0%)이 사무직(7.6%)보다 높게 나타났다.실직 사유로는 권고사직(21.2%)이 가장 많았고 비자발적 해고 및 자발적 퇴사가 각각 19.9%, 계약기간 만료(19.2%), 경영난(13.2%) 등이 뒤를 이었다.지난 8개월간 실직을 겪은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8명(80.8%)은 실업급여를 받아본 적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로는 고용보험 미가입이 54.1%로 가장 높았다.
지난 8개월 전과 비교해 개인 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3명 중 1명꼴(34.0%)이었다.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한 응답률은 비정규직(56.0%)이 정규직(19.3%)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고용 형태별로는 일용직이 71.1%로 가장 많았고, 프리랜서 및 특수고용(67.8%), 아르바이트 시간제(55.9%), 임시직(35.8%) 등 순이었다.
비자발적 휴직을 경험했다는 응답률도 18.4%로 나타났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안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블루'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40.0%는 코로나19로 인해 불안감이 심각하다고 답했고 우울감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19.2%였다.
이 단체는 "불안감과 우울감 모두 비정규직, 여성, 저임금노동자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선 응답자의 79.0%가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정부의 일자리 위기 대응에 대해선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51.9%로 긍정 평가보다 많았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진 지난 8개월간 비정규직 노동자 3명 중 1명꼴로 일자리를 잃는 경험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이달 7∼10일 전국 만 19∼55세 직장인 1천명을 상대로 '코로나19 8개월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21일 발표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개월간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전체 평균 15.1%였다.
실직 경험을 했다는 응답은 비정규직(31.3%)이 정규직(4.3%)보다 7배 이상 많았다.세부적으로 보면,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저임금노동자(월 소득 150만원 미만)가 29.9%로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인 고임금 노동자(3.3%)보다 9배 넘게 높았다.
또 실직을 경험한 비율은 여성(20.0%)이 남성(11.4%)보다 높았고, 서비스직(23.7%)과 생산직(21.0%)이 사무직(7.6%)보다 높게 나타났다.실직 사유로는 권고사직(21.2%)이 가장 많았고 비자발적 해고 및 자발적 퇴사가 각각 19.9%, 계약기간 만료(19.2%), 경영난(13.2%) 등이 뒤를 이었다.지난 8개월간 실직을 겪은 응답자 가운데 10명 중 8명(80.8%)은 실업급여를 받아본 적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로는 고용보험 미가입이 54.1%로 가장 높았다.
지난 8개월 전과 비교해 개인 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3명 중 1명꼴(34.0%)이었다.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한 응답률은 비정규직(56.0%)이 정규직(19.3%)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고용 형태별로는 일용직이 71.1%로 가장 많았고, 프리랜서 및 특수고용(67.8%), 아르바이트 시간제(55.9%), 임시직(35.8%) 등 순이었다.
비자발적 휴직을 경험했다는 응답률도 18.4%로 나타났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안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블루'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40.0%는 코로나19로 인해 불안감이 심각하다고 답했고 우울감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19.2%였다.
이 단체는 "불안감과 우울감 모두 비정규직, 여성, 저임금노동자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선 응답자의 79.0%가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정부의 일자리 위기 대응에 대해선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51.9%로 긍정 평가보다 많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