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특구에 13조 투자…세종 '행정수도 퍼즐' 맞추기
입력
수정
지면D1
행정수도 꿈꾸는 대전·세종국토 중심인 대전과 세종이 각각 대덕특구와 행정기관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대표 과학·행정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대전은 대덕특구를 ‘한국판 뉴딜 메카’로 삼기 위해 2025년까지 13조원을 투자, 일자리 13만 개를 만들 계획이다. 세종은 중앙부처 이전에 이어 미래 청와대, 국회까지 옮기고 자족기능을 확충한 행정수도를 향해 숨가쁘게 달려가고 있다. 그동안 엑스포 도시, 공무원 도시로만 알려진 대전·세종이 체질 개선을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핵심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한국판 뉴딜 메카 만드는 대전
5년내 대덕특구에 '통큰 투자'
바이오·ICT·인공지능 등 육성
일자리 13만개 창출 기대
자족기능 확충하는 세종
대전 스마트 그린도시 완성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서비스업 중심 산업구조의 고착화로 성장이 정체되고 일자리 미스 매치로 구인·구직난이 심화되는 이중의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대덕특구, KAIST 등 연구개발 자원의 집약도는 높지만 지역사회 내 사업화나 성과 확산은 미흡하고 창업률에 비해 생존율도 저조하다.이에 대응해 시는 대전형 뉴딜사업을 통해 2025년까지 13조원을 투자해 13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 방침이다. 한국형 뉴딜과 연계한 대전형 뉴딜을 추진해 민선 7기 후반기 지향점으로 삼은 스마트 그린도시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의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등 3대 방향에 맞춰 기존 사업 53개를 재구성하고, 신규 사업 47개를 연계 발굴해 모두 100대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 대덕특구를 한국판 뉴딜의 메카로 혁신하고 바이오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인공지능(AI), 소재·부품·장비 등 세 가지 주력산업을 집중 육성해 지역의 산업생태계를 재편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신동·둔곡을 중심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대동·금탄 스마트융복합산업단지에 빅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겠다”며 “탑립·전민 국가산업단지에 ICT·AI 융복합 지구를 개발할 방침”이라고 소개했다.시는 그린 뉴딜을 위해 도시철도2호선 트램 건설을 중심으로 전기·수소차를 확대하고 2025년까지 시내버스 운영체계와 연계한 친환경 교통체계를 완성하기로 했다. 혁신도시 지구인 대전역세권 등의 그린인프라 구축과 공공시설물 그린 리모델링을 통해 ‘탄소제로’ 도시를 추진한다. 갑천을 비롯한 3대 하천 그린 뉴딜 프로젝트를 통해 친환경 도심 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의 과학기술 자원 집약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고 대전의 정체성도 대한민국 디지털ㆍ그린 대전환 코드와 정확히 일치한다”며 “대전이 생긴 이래 가장 큰 기회가 주어진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전형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시 유성구 궁동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은 창업벤처 파크도 조성된다. 정부는 ‘스타트업 파크 조성 사업 공모’를 통해 단독형에 대전을 선정했다. 스타트업 파크는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창업벤처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내용으로 창업자와 투자자, 대학 등이 열린 공간에서 교류·협력하는 개방형 혁신 창업 거점을 말한다.허태정 시장은 “궁동지역은 충남대와 KAIST 등 대학과 대덕특구 출연연 및 민간 연구소의 우수한 인적자원과 혁신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 클러스터 조성에 최적지”라며 “대전 스타트업 파크를 대한민국 최고의 혁신기술 창업 메카로 조성해 한국형 뉴딜의 완성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에 자족기능 시설 잇따라 조성
세종시 연서면 일대 277만㎡에 스마트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조사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과 수익성 지수(PI)가 각각 1.76과 1.02로 나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시는 사업 타당성이 확보된 만큼 설계 용역을 신속히 추진해 세부적인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 말까지 산업단지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를 추진하고 2022년부터 보상, 2023년부터 공사를 시작한다. 사업에는 2027년까지 1조5000억원가량이 투입된다.이 산업단지에는 소재·부품 관련 업체들이 입주한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선도기업을 유치해 산업의 집적도를 높이는 한편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정책과 연계해 특화 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첨단 신소재·부품 융합 연구개발(R&D) 센터를 구축해 산학연 중개 연구와 중소기업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는 등 기업 수요와 기술 특성에 맞는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시는 산단이 조성되면 국내외 혁신기업과 우량기업의 투자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부권 소재·부품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스마트 국가산단이 조성되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족 기능을 높여 국가 균형 발전의 선도도시로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세종의 미래 먹거리인 스마트 국가산단이 차질없이 조성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시에 들어설 네이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각 세종’도 마스터플랜이 확정됨에 따라 오는 10월 본격적인 건축 작업에 착수한다.
시는 지역인재 육성에도 나서고 있다. 2023년까지 지역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분야 핵심인력 360명을 양성한다. 이를 위해 고려대 세종캠퍼스에 세종 AI 복합교육장을 조성하고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한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등 신기술 교육을 실시한다. 시는 수료생들의 취·창업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 콘퍼런스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공지능분야 경진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대전·세종=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