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발전 이끄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R&D로 지역현안 해결 나선다
입력
수정
지면D3
지역 전문가·산업계 의견 모아정부는 지난 6월 한국판 뉴딜 전략을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한국판 뉴딜의 핵심은 사람중심 포용국가 기반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으로 대표된다. 디지털 뉴딜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그린 뉴딜을 추진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개발하고 190만 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게 주 내용이다.
폐수 관리 등 90억원 투입
성장 넘어 사회문제에 관심
한국은 위기 상황에 처했을 때 과학기술에서 해법을 찾았고, 미래를 대비할 때도 가장 먼저 과학기술에 투자했다. 연구개발특구는 국가 연구개발(R&D)의 중핵으로 위기 때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국가의 성장에 기여해왔다.22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연구개발특구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계속 진화해왔다. 1974년 당시 정부는 중화학공업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옛 충남 대덕군(현 대전 유성구) 일대를 대덕연구단지로 지정했다. 한국표준연구소(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AIST 등 33개 기관을 입주시켜 국가의 R&D를 이끌도록 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인 2005년에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과학단지 성과를 지역 기업으로 이전하는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했다. 대덕단지를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전환하고 연구개발특구 육성을 담당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설립했다. 이후 대덕의 혁신 클러스터 모델을 거점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 광주, 대구, 부산, 전북 특구를 추가로 지정했다.
현 정부는 혁신 클러스터인 연구개발특구를 모델로 지역경제 발전에 적극 기여할 수 있는 강소특구 제도를 도입했다. 강소특구는 지역에 있는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 주거, 산업, 문화를 집적한 자족형 공간이다. 경기 안산, 경남 김해 등 12개 지역을 지정해 공공연구 성과를 전국으로 확산하고 지역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우리나라 특구를 이끌고 있는 특구진흥재단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구진흥재단은 2005년 당시 752개 기관(기업), 매출 2조5000억원, 연구인력 1만6000명, 고용인력 2만3000명으로 출발했다. 2018년 현재 특구진흥재단은 2046개 기관(기업), 매출 18조원, 연구인력 3만6000명, 고용인력 7만5000명으로 발전했다. 특히 전국 전체 기업 매출 4%, 종사자 수 2.2% 성장 대비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 매출 6%, 종사자 수 4.7% 성장을 이끌었다.
특구진흥재단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출자해 특구 지역 내에 설립하는 공공기술사업화 모델인 연구소기업 제도를 도입했다. 최근 5년간 평균 180개의 연구소기업이 새로 설립됐다. 지난 3일에는 연구소기업 1000호를 돌파하기도 했다. 연구소기업은 세제지원, 육성사업 등과 같은 다양한 지원제도에 힘입어 매출이 연평균 26.1%(중소기업 4.1%) 증가하고 고용도 34.1%(중소기업 1.6%) 늘고 있는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특구진흥재단은 올해 지역 현안을 과학기술계가 함께 해결하는 사업인 지역현안 해결형 사업화연계기술개발사업(R&BD)을 도입했다. 지역주민과 전문가, 산업계 의견을 수렴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지역의 현안을 함께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대안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대전(폐수), 전북 군산(일자리) 등 4개 지역의 지역 현안을 도출해 R&D를 통한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구진흥재단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90억원의 예산을 투입, 각 지역 산업계와 KA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동차융합기술원 등 공공연구기관과 함께 해결책과 사업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은 “이제 성장을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학기술로 포용적 혁신을 이뤄야 한다”며 “이를 위해 특구진흥재단도 상향적 혁신의 매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