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 소·부·장에 850억 지원…배지·레진·배양기 국산화
입력
수정
정부가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소재·장비 국산화에 850억원을 지원한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대형 바이오 기업들은 국산 소재·장비가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이를 구매해주기로 약속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기업은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을 열었다. 이날 발족식에서 정부는 바이오산업의 소재·부품·장비 자립 수준을 높이고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5년간 857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세포의 먹이로 쓰이는 배지와 배양된 세포를 정제하는데 필요한 레진, 세포가 자라는 통인 배양기(바이오 리액터) 등 16개 품목이다.
이날 협의체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소재·부품·장비를 사는 기업 13곳이 참여했다. 국산화엔 아미코젠과 동신관 유리공업, 에코니티, 제이오텍 등 공급기업 42곳이 참여한다. 한국바이오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협의체 운영을 지원한다.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수요기업들은 일정 기준에 맞는 품목을 개발하면 이를 적극 구매키로 했다. 또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실증테스트와 기술자문 등도 지원한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2019년 기준 2조6000억원이다. 전년 대비 16.6% 늘었다. 하지만 생산 장비 국산화율은 16.5%에 그친다.
한편 정부는 이날 바이오 의약품 회사의 바이오 플랜트 압력 용기 개방 검사 주기를 2년에서 4년으로 늘리기로 약속했다. 바이오플랜트 압력용기는 세포 배양 또는 배양용 배지 등의 보관에 사용하는 설비다.
바이오 업계는 그동안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을 맞추기 위해 2년에 한 번 씩 설비를 멈춘 뒤 검사를 받았다. 설비를 멈추세우면 다시 돌리는 데 40~48일이 걸려 손실이 적지 않았다. 이정석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기업과 백신 기업들이 최소 수천억 원대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기업은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을 열었다. 이날 발족식에서 정부는 바이오산업의 소재·부품·장비 자립 수준을 높이고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5년간 857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세포의 먹이로 쓰이는 배지와 배양된 세포를 정제하는데 필요한 레진, 세포가 자라는 통인 배양기(바이오 리액터) 등 16개 품목이다.
이날 협의체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사진)과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소재·부품·장비를 사는 기업 13곳이 참여했다. 국산화엔 아미코젠과 동신관 유리공업, 에코니티, 제이오텍 등 공급기업 42곳이 참여한다. 한국바이오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협의체 운영을 지원한다.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수요기업들은 일정 기준에 맞는 품목을 개발하면 이를 적극 구매키로 했다. 또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실증테스트와 기술자문 등도 지원한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는 2019년 기준 2조6000억원이다. 전년 대비 16.6% 늘었다. 하지만 생산 장비 국산화율은 16.5%에 그친다.
한편 정부는 이날 바이오 의약품 회사의 바이오 플랜트 압력 용기 개방 검사 주기를 2년에서 4년으로 늘리기로 약속했다. 바이오플랜트 압력용기는 세포 배양 또는 배양용 배지 등의 보관에 사용하는 설비다.
바이오 업계는 그동안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을 맞추기 위해 2년에 한 번 씩 설비를 멈춘 뒤 검사를 받았다. 설비를 멈추세우면 다시 돌리는 데 40~48일이 걸려 손실이 적지 않았다. 이정석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회장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기업과 백신 기업들이 최소 수천억 원대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