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북, 연간 핵무기 7개 제조 가능한 핵물질 생산 추산"
입력
수정
"북, 트럼프·김정은 러브레터 교환 중에도 핵개발 지속"
"기존 벙커·저장시설 아래에 새로운 벙커·터널 구축 활발"
"북, 보이는 도발만 자제"…비핵화 진전없이 트럼프·김정은만 이익 북한이 친서교환을 통해 미국과의 정상외교에 주력하면서도 핵·미사일 역량을 계속 강화했다는 지적이 또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러브레터'라고 불릴 정도의 서한을 나누며 친분을 다졌으나 북한 비핵화에는 진전이 없었으며, 오히려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을 키우는 활동을 계속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공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의 전문가 패널 보고서와 궤를 같이한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이 친서교환 기간에 핵무기 보호시설을 만들고 핵탄두를 늘리는 데 진력했다고 한국, 미국의 전·현직 관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보고서를 인용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정보기관들은 김 위원장이 신뢰할 핵 억지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향해 가는 길에 단 한 차례도 걸음을 멈춘 적이 없다고 확인했다.
북한이 추진하는 핵 억지력에는 더욱 강력한 핵탄두를 만들고 이를 실어나를 다양한 고도의 미사일을 개발하는 게 포함된다.
WP는 북한이 자국 핵시설에서 현재 연간 최대 핵탄두 7개를 만들 수 있는 핵분열 물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다면서 이는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핵탄두를 15개 정도 늘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대북제재위는 최근 전문가패널 중간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자국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핵탄두를 소형화하는 등 핵폭탄 제조를 지속했다고 지적했다.
WP는 보고서 내용 가운데 북한이 미사일과 부품을 생산·시험하는 6개 군기지에서의 건설이 활발하다면서 특히 기존 벙커와 저장시설 아래에서의 새로운 벙커와 터널 구축 등을 포함해 지하 건축 활동이 급증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WP는 북한의 6개 미사일 기지에서 트럭들이 새로운 터널과 벙커 굴착 과정에서 나오는 바위들을 실어내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는 "일부 장소에서 탐지될 가능성을 줄이고 기존에 있거나 최근 건립된 기간시설의 위장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뤄졌다"는 내용이 기재됐다.
WP는 북한이 우라늄 광석을 정제하는 평산에 있는 산업단지를 포함해 우라늄 처리 시설을 신설하거나 확장했다는 대북제재위 보고를 강조하며 북한이 이런 조치를 통해 더 많은 핵무기를 더 빨리 만드는 게 가능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018년 정상회담 이후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은 중단해왔다.
WP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그런 시험의 중단으로 이익을 봤으나 미국이 목표로 내세운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가시적 진전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의 도발 자제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정책의 부분적 성공을 자평할 수 있었고, 북한은 긴장완화에 따라 더 많은 핵탄두와 더 큰 미사일을 만들면서 대북제재 우회로를 열어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의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북한은 핵무기 제조와 미사일 체계 개발을 중단한 적이 없고 그것들이 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을 중단했을 뿐"이라며 "북한이 트럼프에게 나쁜 소식의 순환이 되는 것들을 멈춘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존 벙커·저장시설 아래에 새로운 벙커·터널 구축 활발"
"북, 보이는 도발만 자제"…비핵화 진전없이 트럼프·김정은만 이익 북한이 친서교환을 통해 미국과의 정상외교에 주력하면서도 핵·미사일 역량을 계속 강화했다는 지적이 또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러브레터'라고 불릴 정도의 서한을 나누며 친분을 다졌으나 북한 비핵화에는 진전이 없었으며, 오히려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을 키우는 활동을 계속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공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의 전문가 패널 보고서와 궤를 같이한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이 친서교환 기간에 핵무기 보호시설을 만들고 핵탄두를 늘리는 데 진력했다고 한국, 미국의 전·현직 관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보고서를 인용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정보기관들은 김 위원장이 신뢰할 핵 억지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향해 가는 길에 단 한 차례도 걸음을 멈춘 적이 없다고 확인했다.
북한이 추진하는 핵 억지력에는 더욱 강력한 핵탄두를 만들고 이를 실어나를 다양한 고도의 미사일을 개발하는 게 포함된다.
WP는 북한이 자국 핵시설에서 현재 연간 최대 핵탄두 7개를 만들 수 있는 핵분열 물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다면서 이는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핵탄두를 15개 정도 늘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대북제재위는 최근 전문가패널 중간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자국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핵탄두를 소형화하는 등 핵폭탄 제조를 지속했다고 지적했다.
WP는 보고서 내용 가운데 북한이 미사일과 부품을 생산·시험하는 6개 군기지에서의 건설이 활발하다면서 특히 기존 벙커와 저장시설 아래에서의 새로운 벙커와 터널 구축 등을 포함해 지하 건축 활동이 급증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WP는 북한의 6개 미사일 기지에서 트럭들이 새로운 터널과 벙커 굴착 과정에서 나오는 바위들을 실어내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는 "일부 장소에서 탐지될 가능성을 줄이고 기존에 있거나 최근 건립된 기간시설의 위장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뤄졌다"는 내용이 기재됐다.
WP는 북한이 우라늄 광석을 정제하는 평산에 있는 산업단지를 포함해 우라늄 처리 시설을 신설하거나 확장했다는 대북제재위 보고를 강조하며 북한이 이런 조치를 통해 더 많은 핵무기를 더 빨리 만드는 게 가능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018년 정상회담 이후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은 중단해왔다.
WP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그런 시험의 중단으로 이익을 봤으나 미국이 목표로 내세운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가시적 진전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의 도발 자제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정책의 부분적 성공을 자평할 수 있었고, 북한은 긴장완화에 따라 더 많은 핵탄두와 더 큰 미사일을 만들면서 대북제재 우회로를 열어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의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북한은 핵무기 제조와 미사일 체계 개발을 중단한 적이 없고 그것들이 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을 중단했을 뿐"이라며 "북한이 트럼프에게 나쁜 소식의 순환이 되는 것들을 멈춘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