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 "방역기준에 맞춰 학교별로 다양한 등교확대 방안 추진"
입력
수정

지난 2018년 10월 2일 취임후 2주년을 맞은 유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 기자단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등교 방침을 설명했다. 교육부는 특별방역 기간이 끝나는 11일 이후 등교 방안은 이번 주말 방역당국 기준에 맞춰 각 시도교육청 의견을 수렴해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추석 연휴 특별 방역 기간이 종료되는 11일까지는 전국 유·초·중의 등교 인원은 3분의 1 이내, 고등학교는 3분의 2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유 부총리는 "학습격차 해소방안으로 등교수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은 공감하지만 학교 밀집도는 방역기준에 맞춰야 한다"며 "방역 원칙에 훼손되지 않도록 오전·오후 학년제, 오전·오후반, 학급 분반 등 각 학교별로 다양한 확대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유 부총리는 원격수업 확대로 불거진 학력 격차 문제에 대해 "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이달 중 원격교육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원격 교육 활성화를 위해 '원격교육기본법' 제정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원격교육은 학생들에게 수업의 다양성, 더 많은 학습기회 및 체험 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며 "이를 위해선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교육부는 코로나19 이후 미래 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도 제시했다. 유 부총리는 학교, 학생, 학부모 등 각 교육현장의 의견수렴을 거쳐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 ▲새로운 교원제도 마련 ▲스마트 미래학교 등 미래형 학교 조성 ▲국공립 유치원 확대 등 교육 안전망 구축 ▲협업·공유를 통한 대학·지역의 성장 지원 ▲ 미래사회 핵심 인재 양성 ▲ 대학생 취업 지원 확대 등 고등 직업교육 내실화 ▲ 전 국민 평생 학습권 보장 ▲ 디지털 전환 교육 기반 마련 ▲교육 협력 거버넌스 구축 등의 과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게 쉽지는 않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의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며 "10대 과제는 미래교육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