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회사 상폐하는 일본기업 급증…국내 대기업과 반대 행보, 왜?
입력
수정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자회사를 상장폐지하는 일본의 상장 대기업이 늘고 있다.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그룹 전체가 합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위기를 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올들어 15개 자회사 상폐…NTT도코모 공개매수에 46조원
모자 동시상장은 그룹경영 '독'
대한항공·CJ 등 모자상장 많은
우리나라는 경영권 위협 요인도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올들어 9월말까지 공개매수 등을 통해 자회사 지분을 100% 사들인 뒤 상장폐지시키는 상장기업은 15곳에 달한다. 3분기 만에 지난해 전체 규모(12곳)를 넘어섰다. 자회사 상장폐지에 조(兆) 단위 자금을 쏟아붓는 기업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9일 일본 최대 통신회사인 NTT는 이동통신 자회사인 NTT도코모에 대해 4조2000억엔(약 46조원) 규모의 공개매수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공개매수 사상 최대규모다. 소니와 이토추상사도 금융 자회사인 소니파이낸셜홀딩스와 편의점 자회사인 패밀리마트 지분 100%를 확보하는데 4000억엔과 5800억엔씩을 투입했다.자회사 상장폐지는 모자회사가 동시에 상장한 상태가 그룹 경영의 족쇄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확산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모회사와 자회사가 저마다 자사 소액주주의 이익을 위해 회사를 경영하다보면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사례가 잦다는 것이다. 사와다 준 NTT 사장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소액주주의 권익을 중시하다보니 의사결정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위기를 맞으면서 그룹 전체가 일사분란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모자 상장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 기업들은 두둑한 내부유보금을 보유하고 있어 보다 과감하게 공개매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현금성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일본 기업의 비율은 45%로 미국(15%), 유럽(21%)의 두 배를 넘는다.
노무라자본시장연구소에 따르면 2006년 모회사와 동시에 주식시장에 상장된 자회사는 417개사로 전체 상장기업의 20%에 달했다. 작년말까지 이 비율은 7%(259곳)로 줄었지만 1% 미만인 미국에 비해 여전히 높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기업의 지주회사 전환을 유도한 우리나라도 모자 상장이 흔하다. 주요 대기업들도 자회사의 기업공개(IPO)에 적극적이다. 지분은 경영권을 유지할 만큼만 보유하고 신성장동력을 마련하는데 쓸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자는 취지에서다.
하지만 모자 상장은 자칫 그룹 전체 경영권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경영의 비효율성이 노출되면 모회사 가치가 자회사보다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진칼과 대한항공의 경영권 분쟁이 대표적이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KCGI는 작년 3월18일 한진칼 지분 12.80%를 사들여 경영권 분쟁을 시작했다. 당시 자회사인 대한항공의 시가총액은 5조9841억원이었던 반면 모회사인 한진칼은 1조6154억원에 불과하고, 조양호 당시 한진그룹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보유지분율이 30%도 안된다는 점(28.94%)을 노렸다.
수십여개의 계열사를 거느린 지주회사의 기업가치가 자회사들보다 낮은 경우도 드물지 않다. 지난 3월23일 CJ그룹의 지주회사인 CJ의 시가총액은 1조5260억원까지 떨어졌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및 특수관계인의 보유지분(47.07%) 가치는 7183억원이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해도 1조원이면 CJ를 사들여 CJ제일제당, CJ ENM, CJ대한통운 등 74개 계열사를 지배하는게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