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자연에 가까워져야 코로나 이긴다"
입력
수정
지면A18
환경파괴·산업화 경고
獨서 출간후 주목 받아
이전보다 더 나아질 수 있다
(Wir knnen es besser)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17729.1.jpg)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바이오필리아(biophillia)’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의 마음과 유전자에 자연에 대한 애착과 회귀 본능이 내재해 있다고 주장했다. 바이오필리아 이론의 계승자인 오스트리아 출신의 생태학자 클레멘스 아르베이(Clemens Arvay)가 최근 독일에서 출간한 《이전보다 더 나아질 수 있다(Wir knnen es besser)》는 코로나19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저자는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멀어지면 아프게 되고, 자연과 가까워지면 건강해진다”고 주장한다. 자연과 생태계를 파괴하며 생명과 순환의 원리를 무시하는 도시화가 결국 인간의 몸과 마음을 병들게 했고, 세계적인 유행병이 창궐하기에 좋은 환경을 조성했다.
저자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인 유행병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환경적인 요인’ 때문이었다. 지속적인 환경 파괴가 닫혀 있던 바이러스의 빗장을 열어젖혔고, 활짝 열린 문을 통해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했다. 코로나19는 환경 파괴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미립자 물질이 감염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매년 수십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로 암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도심을 가득 채운 자동차가 일으키는 매연과 타이어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우리의 면역 체계를 위협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10/AA.24022267.1.jpg)
홍순철 < BC에이전시 대표·북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