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마켓+] K팝·한복도 모두 자기네 꺼라는 중국의 속내

한국 콘텐츠 인기 얻을수록
중국의 '동북공정' 심해져

"모두가 중국이 원조" 비뚤어진 사대주의
"한국 콘텐츠에 영향력 과시하려" 우려도
"중국의 소수민족 조선족의 전통이니 당연히 중국의 문화다. 한류의 원조는 중국이다."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로 대표되는 K팝, '킹덤' 속 한복까지 한국의 콘텐츠가 세계적인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이전까진 한국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해 문제가 됐다면, 최근엔 '한국문화 자체가 중국문화'라는 프레임이 새롭게 짜여진 모양새다. 특히 조선족을 "중국의 소수 민족 중 하나"라고 칭하면서 한국의 전통 문화까지 "중국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 CCTV 대하 사극 '압록강을 건너'

/사진=CCTV 대하드라마 '압록강을 건너다' 포스터
얼마전 방탄소년단가 한미 관계 개선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한 밴 플리트상 시상식에서 6.25 한국전쟁을 두고 "한미 양국이 함께 겪은 고난의 역사"라고 언급한 부분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이 분노했다. 중국도 한국전쟁에 참전했는데, 이를 무시했다는 것.

중국은 한국전쟁을 '항미원조' 전쟁이라 부른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한국의 침략에 맞서 조선(북한)을 구하기 위한 전쟁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중국의 이런 인식이 반영된 드라마가 최근 제작이 확정됐다. 중국의 국영방송인 CCTV 제작 대하드라마 '압록강을 건너다'는 총 40부작으로 기획됐다. 드라마는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정당성과 중화민족주의를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연출자인 쉐지진 PD는 "인민지원군이 어떠한 마음으로 결전에 임했는지 널리 알리고 악랄한 한국군의 침공에도 용감히 투쟁해 고지를 수호한 상감령 전투(저격능선전투)의 위업이 드라마의 절정을 장식할 것"이라고 전했다.

#2. 한푸 복원 운동


넷플릭스를 통해 '킹덤'이 세계적인 인기를 모으면서 아마존에서는 '킹덤 모자'라며 '갓'이 등장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NCT127 등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은 아이돌 역시 한복을 모티브로 한 무대 의상을 선보이면서 더욱 한복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한국의 전통 복식이 집중 조명을 받는 가운데 중국에서는 그동안 금기시 됐던 '한푸'를 복원하겠다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사진=중국 명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사극 '성화14'에 등장한 한복과 유사한 의상
중국은 자신의 정체성을 청나라에 있다고 봤고, 청나라 만주족 전통 의상인 치파오를 전통 의상으로 내세웠다. 한푸는 청나라에 앞서 있던 명나라, 송나라 등을 세운 한족의 전통 복장이었고,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각약각색으로 존재했다. 특히 고려와 교류하며 한복의 영향의 받았다는 이유로 이전까지 금지됐지만, 최근엔 명나라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도 조선시대와 비슷한 갓과 도포가 등장한다.

#3. 중국의 동북공정은 ing

/사진='중국' 국적으로 표기된 윤동주 시인
중국은 고구려도, 발해도 모두 자신의 역사라 주장하는 '동북공정'을 진행했다. 그리고 중국의 한국 역사 흡수 시도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중국은 연변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을 자신의 소수민족으로 보고있다. 문제는 조선족의 문화를 중국 문화로 보고 있는 것. 2016년엔 윤동주 시인까지 '조선족'이라고 소개하며 '중국 국적'이라고 중국 포털 바이두 백과사전에 표기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바이두는 하루 이용자가 20억 명이 넘는 중국의 대표 포털 사이트다.
/사진="중국의 전통의상과 춤"이라며 중국 예능 '저취시가무'에 등장한 참여자
뿐만 아니라 중국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중국의 전통 의상과 전통 춤"이라고 소개하며 한복을 입고 '아리랑'에 맞춰 부채춤을 춘다.

중국에서 '쇼미더머니'를 무단 도용한 '랩 오브 차이나'엔 자신을 "중국의 조선족"이라고 소개한 참여자가 "아리아리랑, 장백산 밑에 하얀 옷을 입는 활발한 소년이 있다"며 백두산을 '장백산'이라 칭하는 모습을 고스란히 방영하기도 했다.
/사진=중국이 무단 도용한 '랩 오브 차이나'에 조선족 참여자가 등장, '아리랑'을 모티브로 한 랩에 '장백산'과 '하나의 중국'을 언급하고 있다.

도용하고, 베끼고…"K콘텐츠 인기 얻을수록 심해져"


중국이 한국 콘텐츠를 무단 도용하고, 역사를 왜곡하고, 자신의 것이라 우긴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문제는 반복되는 중국의 도발 행동에도 적극적인 대응이 힘들다는 것.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에서는 문화콘텐츠산업의 지식재산권을 제조업 대비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1.5배, 고용 창출효과는 2.2배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해외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 침해로 한류 콘텐츠가 최소 해외 매출 10%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조사한 '국내외 프로그램 포맷 권리침해 사례'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한국 예능프로그램 18편에 대해 20차례 무단도용 등 권리침해가 발생했다. 이중 19건이 중국 방송국에 의해 이뤄졌다. 중국이 2016년 '한한령'(限韓令)이라는 이름으로 한국 콘텐츠 수입과 교류를 막았지만, 예능 프로그램 포맷을 무단 도용하는 사례는 더욱 늘어났다.
/사진=지난 5년 동안 중국이 무단 도용한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
그럼에도 법적인 규제는 현재까지 어려운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데뷔해 중국에서 인기를 얻은 아이돌들까지 도용한 프로그램에 출연시키는 상황도 늘어나고 있다. 소속사 입장에서는 한국보다 거액의 출연료를 보장하는 중국 프로그램 출연을 거부하긴 힘든 상황이다.뿐만 아니라 중국의 영토 분쟁, 홍콩 시위 등 정치적인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국에서 활동 중인 중국 출신 아이돌들의 발언을 요구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K-콘텐츠'의 영향력을 중국이 이용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