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만 타격받은 日…소득불평등 심해진 中

한·중·일도 'K자 회복' 우려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주요 경제국에서도 ‘K자 회복’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은 고용시장에서 K자 회복세가 두드러진다.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정권의 대규모 경기부양책)를 통해 집중적으로 늘린 비정규직 근로자가 코로나19 여파로 가장 먼저 잘려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497만 명의 고용을 창출한 것을 재임 기간 최대 치적으로 평가했지만 이 가운데 350만여 명이 비정규직 근로자였다. 8월 비정규직 고용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0만 명 줄어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정규직 고용자 수는 38만 명 늘어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단순 서비스업이 고용 한파를 맞은 반면 정규직이 대부분인 정보기술(IT), 간호 등은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다.‘고용시장의 K자 곡선’은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지난해 일본 민간기업 근로자 1인당 평균 급여는 436만엔(약 4746만원)으로 2018년보다 1% 감소해 7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비정규직 근로자의 급여가 크게 감소한 탓이다. 종업원 30~99인 사업장의 평균 급여는 412만엔으로 5% 줄었다. 5000명 이상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516만엔으로 오히려 0.9% 늘었다. 정규직(530만엔)과 비정규직(175만엔) 급여 차이는 2.8배까지 벌어졌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한 중국도 소득 불평등이 더 심각해지는 ‘K자형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 상반기 연간 10만위안(약 1706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은 자산이 감소했다. 반면 30만위안 이상의 고소득층은 자산이 더 늘어나 최고급 자동차와 명품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해진 건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고속철도 건설, 5세대(5G) 통신기지국 신설 등 대형 인프라 사업에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해안과 내륙지역의 격차도 더욱 커졌다. 미 경제 컨설팅업체 차이나베이지북(CBB)에 따르면 상하이, 저장, 장쑤 등 해안지역 기업의 2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41% 증가한 반면 간쑤, 칭하이, 신장 등 내륙지역 기업은 10% 감소했다.

한국에서도 일자리·가계소득 부문에서 K자형이 선명해지고 있다. 지난 9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40만 명가량 줄었다.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18% 감소해 2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소득 상위 20%는 4% 줄어 상대적으로 타격을 덜 받았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8.42배로 작년 같은 기간의 7.04배보다 악화됐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