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 4만원대 실속 요금 선보인 KT…'값비싼 5G' 거품 빠지나

"잘 터지지도 않는데 요금 비싸"
소비자 불만에 가격 인하 압박

KT '5G 세이브·심플' 내놔
중저가 요금제 경쟁 '신호탄'
SK텔레콤·LG유플러스도
가성비 높은 5G요금제 검토
KT 고객이 새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인 ‘5G 세이브’와 ‘5G 심플’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KT 제공
‘잘 터지지 않으면서 비싸기만 했던’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가 저렴해질 전망이다. KT가 4만원대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신호탄을 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합리적인 5G 요금제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KT發 5G 중저가 요금 경쟁

KT는 지난 5일 새 5G 요금제인 ‘5G 세이브’와 ‘5G 심플’을 선보였다. 이들 요금제는 각각 월 4만원대, 6만원대로 5G 중저가 요금제다.

5G 세이브는 월정액 4만5000만원에 기본 데이터 5기가바이트(GB)를 제공한다. 기본 제공량을 다 쓰면 최대 400Kbps(초당 킬로비트) 속도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이 요금제는 청소년·노인 등 특정 연령대 대상 상품을 제외하고는 5G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하다. 기존에 최저 5G 요금제는 통신 3사 모두 월 5만5000원이었다.

5G 심플은 월 6만9000원에 데이터 110GB를 기본 제공하는 요금제다. KT는 고가의 데이터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보완할 상품으로 5G 심플을 내놨다. 지금까지는 5만원대 최저가 요금제가 아니면 월 8만원 이상 데이터 완전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해야 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7만5000원 이상으로 상황은 비슷했다. 6만~7만원대 초반 사이의 요금제가 비어 있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된다는 비판이 많았다.5G 심플은 기본 제공량을 다 사용하면 5Mbps(초당 메가비트) 속도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달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G 가입자의 1인당 월 데이터 이용량은 약 26GB다. 기본 데이터(110GB) 제공량만으로도 상당수 5G 요금제 가입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연내 5G 요금제 개편”

그동안 정부는 이동통신사에 저렴한 5G 요금제 출시를 압박해왔다. 5G 커버리지(서비스 지역)가 완벽하게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최대 13만원에 이르는 비싼 5G 요금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7~8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5G 요금제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잘 터지지도 않는데 비싼 요금제만 받고 있다”는 지적이 대부분이었다.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온라인을 통한 유통구조 혁신으로 요금을 낮추고 판촉비에 따른 시장 갈등과 혼탁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르면 연내 KT뿐만 아니라 SK텔레콤, LG유플러스에서도 저렴한 5G 요금제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대표는 국감에서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고객 친화적이고 편익을 높이는 요금제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강국현 KT커스터머부문장은 “온라인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더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요금 인하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도 “(요금 인하) 제안에 동의한다. 준비하겠다”고 답했다.

유통망 혁신 없인 어렵지만…

이통사들이 5G 요금제 인하를 약속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 저렴한 온라인 요금제 도입 과정에서 소상공인이 대부분인 오프라인 대리점, 판매점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5G 요금제 인하는 유통 채널 개편이 선행돼야 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피해가 심한 상황에서 온라인 요금제를 도입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작년 통신사가 집행한 마케팅비는 8조540억원. 이 중 상당수는 대리점과 판매점에 지급하는 판매장려금이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마케팅 비용 중 5%가 광고선전비, 20%가 단말기 공시지원금이고 판매장려금이 나머지 7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며 “온라인 중심으로 유통혁신을 해야 마케팅비를 줄일 수 있지만 판매점, 대리점 등 종사자 수가 수만 명에 달해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5G 네트워크 투자, 주파수 재할당 등 대규모 지출이 예상되는 것도 부담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3사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을 구축하기 위해 24조5000억원~25조7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여기에 내년 재할당이 예고된 2세대(2G)·3세대(3G)·LTE 이동통신 주파수의 재사용료도 내야 한다. 정부는 재할당 대가로 최대 5조5000억원을 보고 있다. 반면 통신사들이 주장하는 적정 비용은 1조6000억원이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