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유니콘] 하이센스바이오, 잠든 상아모세포 깨워 충치와 시린이 해결한다

박주철 하이센스 대표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베테랑 벤처캐피털리스트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최고투자책임자(CIO)가 바이오업계 샛별로 떠오른 하이센스바이오 박주철 창업자를 만났다.

한국투자파트너스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황만순 상무는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벤처투자를 주도하고 있는 벤처캐피털리스트다. 바이오업계 샛별로 떠오른 하이센스바이오는 지난 6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아기 유니콘’으로 선정한 기업이다. 기업가치 1조 원(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뜻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떡잎 푸른 기업’이란 얘기. 박주철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가 창업했다. 투자 전문가와 벤처 기업가가 나눈 대담을 정리했다.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황만순 상무(이하 황) 하이센스바이오가 설립 5년차를 맞았습니다.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박주철 대표(이하 박) 충치를 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입니다.(웃음)

황 (반색하며) 잠깐만요. 하이센스바이오의 치료제가 상용화된다면 괴롭기 짝이 없는 치과 치료를 더 이상 받지 않아도 된다는 뜻인가요?

박 (단호하게) 그건 아닙니다. 충치로 깊게 파인 이를 때우는 등 기존 치료 없이 원상태로 복구할 방법은 아직 없거든요. 그리고 만약 약을 쓰는 것만으로 치아가 원상복구된다면 전 세계 치과 의사들이 우리 치료제를 보이콧할지도 모르고요.(웃음) 대신 저희가 개발 중인 치료제는 훼손된 상아질을 재생해주기 때문에 이가 시린 증상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기존 치과 치료와 병행하기 좋지요. 파이프라인 소개는 조금 후에 하고 다시 회사 소개로 돌아가도 될까요?황 네, 부탁드립니다.

박 하이센스바이오는 제가 2016년 설립했고, 현재 직원 수는 저를 포함해 16명입니다. 이 중 10명이 연구개발(R&D)을 맡고 있고, 나머지는 경영 및 인허가 관련 인력입니다.

3주 정도면 시린이 아픔 ‘끝’황 그럼 파이프라인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박 진도가 가장 빠른 건 시린이 치료제 ‘KH001’입니다. 임상 1상을 진행 중이고요, 충치 치료제와 치주질환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KH001은 우선 전문의약품 판정을 받았는데, 추후 치약에도 쓸 수 있고 양치액이나 의료기기에도 접목할 수 있어 상당한 파급력이 예상됩니다.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황 아무도 연구하지 않던 분야를 계속 파고든 덕분에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도 얻으셨죠. 시린이가 치료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박 먼저 이가 시리게 되는 이유를 알아야 이해가 쉽습니다. 이가 시린 이유는 치아표면의 상아질이 훼손돼 이전까지 상아질로 덮여 있던 신경이 바깥으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원인은 충치 외에도 노화, 미용을 위한 래미네이트 등 다양하죠. 저희는 상아모세포를 활성화해 상아질을 새로 만드는 특정 펩타이드를 찾아냈습니다. 이 펩타이드가 상아모세포를 자극하면 상아모세포가 상아질을 재생해 신경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그 결과 이가 시린 증상이 사라지게 됩니다.

황 상아모세포가 평소에는 일을 안 하나요? 만약 정상 작동한다면 알아서 상아질을 만들 텐데 말입니다.

박 맞는 지적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거나 염증 등으로 훼손되면 상아모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나이가 들수록 시린이 환자가 많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죠. 저희가 발견한 펩타이드는 ‘잠든’ 상아모세포를 깨워 다시 정상 작동하도록 만들어줍니다.

황 상용화된다면 어떤 식으로 환자에게 쓰이게 될까요? 시린이 환자가 사용하면 낫는 데까지 얼마나 걸리겠습니까?

박 치료제의 핵심을 담당하는 펩타이드는 물에 녹기 때문에 환부에 바르는 식으로 사용될 것입니다. 열흘에 세 번 치과를 찾아 환부에 도포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시린이가 낫는 데는 3주 정도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황 3주면 시린이가 낫는다니 솔깃해지네요.(웃음) 예전에는 이가 시리면 그냥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 보다 하고 참고 살았잖아요. 이번엔 하이센스바이오가 개발 중인 다른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도 설명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박 KH001에 쓰인 펩타이드의 적응증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치아우식증 치료제 ‘KH002’와 치주질환 치료제 ‘KH003’의 전임상을 각각 마쳤습니다.

황 치아와 전혀 관련이 없는 중추신경계 질환과 말초신경계질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도 개발 중인 걸로 압니다.

박 저희가 개발 중인 기술을 ‘플랫폼 기술’로 보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KH001이 상아모세포를 자극하는 것처럼 현재 저희가 개발하고 있는 다른 치료제도 다른 특정 세포를 활성화합니다.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안 되는 중추신경, 말초신경 등의 특정 세포를 자극해 다시 재생이 되도록 돕는 원리입니다. 현재 연구인력 10명 중 2명만 치아 관련 연구자이고,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미래 먹거리를 벌써부터 만들고 있는 셈이죠.

황 기업공개(IPO) 시기는 언제쯤으로 잡고 있나요?

박 그건 오히려 전문가인 황 상무께서 조언해줘야 하지 않을까요.(웃음)

황 라이선스 아웃(기술 수출)을 계획하는 신약의 경우 임상 단계를 어디까지 완료했느냐에 따라 계약금이 천차만별입니다. 영업이익을 못 내는 대다수 바이오 벤처에겐 국내 임상비용 부담도 만만찮습니다. 하지만 미국 임상에 드는 비용에 비하면 사실 큰 비용이 든다고 할 순 없어요. 지금은 시장의 투자자금이 여유로운 상황인 만큼 임상 1상을 마친 뒤 글로벌 제약사와 라이선스 아웃 협상이 어느 정도 진척된 단계가 상장의 적기로 봅니다.

박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때문에 해외 제약사와의 협업이 더뎌지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임상 1상이 끝나는 내년 하반기엔 IPO에 도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IT 창업은 20대부터, 그럼 바이오창업은?”

황 이번엔 조금 부드러운 얘기를 해볼까요? 창업하게 된 동기에 대해 여쭤보겠습니다. 20년 넘게 교수로서 연구에 집중하다 갑자기 창업에 뛰어들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박 특별한 계기랄 건 없어요. ‘물 흐르듯’ 창업하게 됐습니다. 사실 연구할 때만 해도 창업은 생각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오로지 어떻게 하면 손상된 치아의 상아질을 회복시킬 수 있을까를 연구하는 데 힘을 쏟았죠.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요. 진료를 보는 동료 교수들과 만난 자리에서 제가 하던 연구내용을 들려줬더니 한 동료가 그러더군요. “그거, 시린이 치료에 쓰면 될 거 같은데? 사업화하면 대박나지않을까?” 하고요.

황 연구만 할 때는 몰랐는데 현장에 있는 의사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다 사업을 결심하셨다는 거죠?

박 맞습니다. 그래서 후배 연구자들에게도 연구만 하지 말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의견을 나눠보라고 입버릇처럼 말하게 됐습니다.
하이센스바이오의 연구인력 10명 중 2명은 치아 관련 연구자, 나머지는 치아가 아닌 다른 분야와 관련된 연구자다. / 김영우 기자
황 앞서 ‘물 흐르듯’이라고 하셨는데요, 물에도 ‘속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그물이 빠르게 흐르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좀 비유적으로 표현하긴 했지만, 연구를 시작해 창업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이 얼마나 될까요?

박 상아질 관련 연구만 20년을 했습니다. 환자를 진료하는 대신 연구에 집중했어요. 왜 그런 거 있잖아요. ‘환자를 한 번에 한 명씩 낫게 하는 대신 내 연구로 수만 명의 환자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그런…. 여담이지만 치과대 81학번 입학동기 87명 중 저를 제외한 86명이 개원했어요.(웃음)

황 말씀을 듣고 보니 바이오 기업 창업과 IT 기업 창업의 차이점이 바로 이건 거 같아요. IT 기업은 스물네 살에 막 창업하고 빠르게 성장하는데, 바이오 기업 설립자는 대개 나이가 40이 넘고 연구경력도 최소 15년 이상은 되는 것 같거든요. 끝으로 앞으로의 목표는 뭔가요?

박 ‘핀란드’ 하면 대부분 자일리톨을 떠올리는 것처럼 ‘한국’ 하면 K-바이오, 더 나아가 ‘하이센스바이오’를 떠올리게끔 하고 싶습니다. 삼성전자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 기업이요. 덤으로 지금부터 양치를 열심히 하십시오. 그래서 충치가생기는 걸 3년만 늦춰주세요. 그때쯤이면 ‘우리 약’으로 충치를 치료할 수 있는 시대 가 열려 있지 않을까요?글=이우상/사진 김영우 기자 idol@hankyung.com

*이 기사는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0년 10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