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 아파트도 수도권만큼 '공급절벽'…집값 상승 우려 목소리 커져
입력
수정
지면B3
지방 부동산 시장은 그다지 주목을 못 받는다.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는 서울이 수도권에 속하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도 수도권에 집중된다. 하지만 올해 주요 지방자치단체 아파트 상승폭이 서울보다 높다. 내년에도 지방 매매가 상승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입주 물량이 줄어들고 있어서다.
부동산 공식통계 기관은 한국감정원이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감정원의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9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2.48%)은 전국 평균치보다 낮았다. 경기(9.43%)와 인천(7.98%) 상승률은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세종(40.14%) 대전(13.38%) 울산(4.22%)은 물론 충북(3.92%)과 충남(2.90%)이 서울보다 상승률이 높았다는 것도 주목받지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저렇게 낮은 것은 의외의 결과일 것이다.특이하게도 감정원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높았던 적은 2015년(6.75%)과 2018년(8.04%)뿐이다. 전반적으로 낮았고 지난해에도 1.15% 상승에 불과했다. 충북 등 지방이 서울보다 더 많이 오르는 폭등장을 겪고 있는데도 규제는 서울 중심으로 적용된다.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5.59%로 감정원(4.94%)보다 높았다. 서울(9.09%)이 경기(8.36%)와 인천(6.13%)보다 더 많이 올랐다. 정부에서 최근 감정원과 KB 통계 용도가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언급했기에 두 기관의 시세 차이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을 생각이다. 그런데 KB 수치에서도 명확한 것은 지방 시장 역시 상승 중이라는 점이다. 세종(31.56%) 및 대전(9.25%)과 함께 울산(3.78%)과 대구(3.75%)도 상승률 상위 지역에 포함돼 있다. 서울은 그렇다고 치고 왜 지방 시장 역시 강세장을 띠고 있을까.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 시장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입주 물량 감소가 공통점이다. 입주 물량을 늘리는 것은 현시점에서 녹록지 않은 일이다. 대규모 택지개발을 지방자치단체에서 그다지 반기지 않는다. 주택보급률이 100을 넘어서 주택이 충분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게 언제 적 일인가.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신규 주택 준공량은 연간 50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 중 2016~2018년 3년간은 60만 가구를 웃돌았다. 2018년엔 70만 가구도 넘어 그야말로 입주량 과잉의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주택 중 아파트로 한정지으면 2018년이 최대(48만 가구)였다. 30만 가구 이상인 시기는 지난 4년에 그쳤다.
정부가 3개월마다 발표하는 아파트 입주예정량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입주량은 8만635가구다. 이 중 수도권(4만8534가구)과 지방(3만2101가구)에서 전년 대비 감소폭이 큰 지역은 어디일까. 바로 지방이다. 지난해 4분기 준공데이터에 따르면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3만5302가구, 6만1319가구였다. 수도권(37.5%)과 지방(-47.7%)이 다른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내년은 어떨까. 확실한 점은 올해보다 준공량이 더 줄어든다는 것이다. 아파트를 짓는 데는 기초공사도 튼튼히 해야 할뿐더러 부실공사 없이 시공해야 한다. 그것도 3년여의 시간을 들여서 말이다.이런 와중에 KB가 발표하는 주간 전세수급지수(0~200)는 전국 기준 190을 돌파했다. 100이 넘으면 전세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얘기다. 2003년 7월 주간자료가 발표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매매 가격이 움직이는 와중에 전세 수급 차질이 벌어지면 그 이후의 일은 상상하고 싶지 않다.
이상우 <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
부동산 공식통계 기관은 한국감정원이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감정원의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9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2.48%)은 전국 평균치보다 낮았다. 경기(9.43%)와 인천(7.98%) 상승률은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세종(40.14%) 대전(13.38%) 울산(4.22%)은 물론 충북(3.92%)과 충남(2.90%)이 서울보다 상승률이 높았다는 것도 주목받지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저렇게 낮은 것은 의외의 결과일 것이다.특이하게도 감정원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높았던 적은 2015년(6.75%)과 2018년(8.04%)뿐이다. 전반적으로 낮았고 지난해에도 1.15% 상승에 불과했다. 충북 등 지방이 서울보다 더 많이 오르는 폭등장을 겪고 있는데도 규제는 서울 중심으로 적용된다.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5.59%로 감정원(4.94%)보다 높았다. 서울(9.09%)이 경기(8.36%)와 인천(6.13%)보다 더 많이 올랐다. 정부에서 최근 감정원과 KB 통계 용도가 다르다는 것을 분명히 언급했기에 두 기관의 시세 차이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을 생각이다. 그런데 KB 수치에서도 명확한 것은 지방 시장 역시 상승 중이라는 점이다. 세종(31.56%) 및 대전(9.25%)과 함께 울산(3.78%)과 대구(3.75%)도 상승률 상위 지역에 포함돼 있다. 서울은 그렇다고 치고 왜 지방 시장 역시 강세장을 띠고 있을까.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 시장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입주 물량 감소가 공통점이다. 입주 물량을 늘리는 것은 현시점에서 녹록지 않은 일이다. 대규모 택지개발을 지방자치단체에서 그다지 반기지 않는다. 주택보급률이 100을 넘어서 주택이 충분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게 언제 적 일인가.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신규 주택 준공량은 연간 50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 중 2016~2018년 3년간은 60만 가구를 웃돌았다. 2018년엔 70만 가구도 넘어 그야말로 입주량 과잉의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주택 중 아파트로 한정지으면 2018년이 최대(48만 가구)였다. 30만 가구 이상인 시기는 지난 4년에 그쳤다.
정부가 3개월마다 발표하는 아파트 입주예정량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입주량은 8만635가구다. 이 중 수도권(4만8534가구)과 지방(3만2101가구)에서 전년 대비 감소폭이 큰 지역은 어디일까. 바로 지방이다. 지난해 4분기 준공데이터에 따르면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3만5302가구, 6만1319가구였다. 수도권(37.5%)과 지방(-47.7%)이 다른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내년은 어떨까. 확실한 점은 올해보다 준공량이 더 줄어든다는 것이다. 아파트를 짓는 데는 기초공사도 튼튼히 해야 할뿐더러 부실공사 없이 시공해야 한다. 그것도 3년여의 시간을 들여서 말이다.이런 와중에 KB가 발표하는 주간 전세수급지수(0~200)는 전국 기준 190을 돌파했다. 100이 넘으면 전세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얘기다. 2003년 7월 주간자료가 발표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매매 가격이 움직이는 와중에 전세 수급 차질이 벌어지면 그 이후의 일은 상상하고 싶지 않다.
이상우 <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