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래가 가장 비싼 역세권은 신반포역…많이 뛴 곳은?
입력
수정
박상혁 의원·한국도시연구소 실거래가 분석
집값 상승률 가장 높은 역세권은 신목동역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이 한국도시연구소와 함께 벌인 '2020년 상반기 실거래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아파트 매매가 상위 10위 역세권(지하철역 반경 500m) 중 1위는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역으로 3.3㎡당 9456만원에 달했다.신반포역 인근은 신반포1차 재건축으로 지어진 대림아크로리버파크, 반포주공2단지를 재건축한 래미안퍼스티지 등 고급 아파트촌으로 둘러싸여 집값이 3.3㎡당 1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아크로리버파크 등은 수년 전 3.3㎡당 가격이 1억원을 훌쩍 넘은 상태다.
2위는 강남구 대치동 한티역으로 3.3㎡당 매매가가 8405만원이었다. 3위는 일원동 대모산입구역으로 8354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반포동 사평역(8101만원)과 반포역(8024만원), 강남구 대치동 대치역(7960만원) 등 순으로 집계됐다.상위 10개 역세권은 모두 서초구와 강남구였다. 10위는 강남구 일원동 대청역으로 3.3㎡당 7730만원이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역세권 아파트값 상위 10위권 내 순위 변동이 컸다.
서초구 반포동 구반포역은 올 상반기는 상위 7위인데 2년 전인 2018년 상반기에는 1위였다.이곳은 아파트 가격이 3.3㎡당 7356만원에서 7937만원으로 7.9% 상승하는 데 그친 결과다. 인근 반포주공1단지 재건축이 아직 속도를 내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주거와 교육환경을 갖춘 한티역의 경우 10위에서 2위로 상위권으로 뛰었다. 같은 기간 5974만원에서 8405만원으로 40.7% 상승했다. .
다만 2년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강남권 외 지역이 상위권이었다.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128.7%의 상승률을 기록한 양천구 목동 신목동역이었다.
2018년 2002만원이었는데 올해 재건축 호재를 안고 4578만원으로 뛰었다.
2위는 도봉구 도봉동 도봉산역으로 833만원에서 1873만원으로 124.8% 올랐다. 3위는 금천구 시흥동 시흥역으로 1811만원에서 3794만원으로 109.5% 상승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