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쯔쯔가무시병 환자 급감…"그래도 진드기 조심"
입력
수정
대표적인 가을철 감염병인 쯔쯔가무시병이 올해는 잠잠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야외활동이 줄어들었고, 긴 장마와 태풍 등이 매개체인 진드기 수를 감소시켰다는 분석이다.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도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8명에 불과하다. 2017년 241명, 2018년 183명, 지난해 96명으로 매년 감소세였지만, 올해는 하락 폭이 꽤 크다. 전국 통계 역시 지난해 4005명에서 올해 현재 653명으로 크게 줄었다.쯔쯔가무시증과 함께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올해 충북에서 작년과 동일하게 3명의 환자가 나왔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야외활동이 줄고, 개인위생이 강화된 점 등이 환자 발생을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진드기 발생이 감소한 것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래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보건당국의 견해다. 가을철 감염병은 11월까지 집중 발생해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치료제가 없어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게 최선의 예방법이다.야외활동 때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 펴서 앉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기피제 사용 등도 지켜야 할 사항이다.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털어 세탁하고 머리카락과 귀 주변,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어 전파되며,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두통, 발열, 오한, 구토, 가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참진드기를 통해 전파되는 열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치사율이 높다. 38도 이상의 고열, 혈뇨, 혈변, 구토, 설사 등의 증상과 혈소판 감소가 특징이다.야외 활동을 마친 뒤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 증상(오심·구토·설사 등)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야 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도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8명에 불과하다. 2017년 241명, 2018년 183명, 지난해 96명으로 매년 감소세였지만, 올해는 하락 폭이 꽤 크다. 전국 통계 역시 지난해 4005명에서 올해 현재 653명으로 크게 줄었다.쯔쯔가무시증과 함께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올해 충북에서 작년과 동일하게 3명의 환자가 나왔다.
도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야외활동이 줄고, 개인위생이 강화된 점 등이 환자 발생을 억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진드기 발생이 감소한 것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래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보건당국의 견해다. 가을철 감염병은 11월까지 집중 발생해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치료제가 없어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게 최선의 예방법이다.야외활동 때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돗자리 펴서 앉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기피제 사용 등도 지켜야 할 사항이다.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털어 세탁하고 머리카락과 귀 주변,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어 전파되며,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두통, 발열, 오한, 구토, 가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참진드기를 통해 전파되는 열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치사율이 높다. 38도 이상의 고열, 혈뇨, 혈변, 구토, 설사 등의 증상과 혈소판 감소가 특징이다.야외 활동을 마친 뒤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 증상(오심·구토·설사 등)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야 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