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근·이찬 서울대 父子 교수 "직업교육은 삶의 문제…대학 체질도 확 바꿔야"
입력
수정
지면A32
'代 이은 직업교육 74년'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전·현직 부자(父子) 교수가 560쪽 분량의 직업교육 교재 《한국의 직업교육훈련정책》을 최근 출간했다. 이무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농산업교육과 명예교수(왼쪽)와 같은 대학 이찬 식물생산과학부(산업인력개발학 전공) 교수(오른쪽)가 그 주인공이다.
'한국의 직업교육 훈련 정책' 출간
1945년부터 직업교육 75년 집대성
이 명예교수, 직업교육 기초 쌓고
이 교수는 직업교육 뼈대 갖춰
"백화점식 대학교육 경쟁력 없어
연구·교육중심 대학으로 개선해야"
부자의 직업교육 연구기간을 합하면 74년이나 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대 원장을 지낸 아버지 이 명예교수는 한국 직업교육의 기초를 닦았고, 아들 이 교수는 한국 기업교육의 뼈대를 세운 전문가다. “어떻게 아버지가 연구한 학문을 이을 생각을 했느냐”고 묻자 이 교수는 “아버지는 나의 롤모델이었다”며 “학창시절 한 번도 성적표를 보자고 한 적이 없었지만 대학 전공과 직업 선택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분”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인력개발학이 농업생명과학대에 있는 이유에 대해 이 명예교수는 “인류역사의 첫 직업은 농업이었다”며 “농업교육에서 직업교육이 나왔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내놨다.충북 영동 태생인 이 명예교수는 서울대 농생물학과 출신이다. 교육대학원 진학이 그의 인생을 바꿨다. 이 명예교수는 “농촌 발전을 위해 농업고에서 가르치는 일을 하고 싶어 교육대학원에 진학했는데, 문교부(현 교육부)의 직업교육 양성 프로그램 혜택을 받아 미국에서 직업교육을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오하이오주립대에서 연수하고, 일리노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귀국해 전임강사 발령을 받았다. 이 명예교수는 미국에서 이수한 농업·공업·상업·가정·보건교육 등 5개 분야 직업교육의 씨앗을 한국에 심었다. 서울대 대학원에 진로교육, 기업HRD(인력개발) 등을 개설해 후진을 양성하는 데 매진했다.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학장을 지낸 정철영 교수, 교육부 차관을 거친 나승일 교수 등이 그의 제자다.
책은 한국의 직업교육 75년사를 집대성했다. 이 명예교수는 5년간 매일같이 국회 도서관을 찾아 자료를 모았다. 책은 5장으로 구성됐는데 중등·고등직업교육의 역사는 이 명예교수가, 기업 직업교육과 미래 직업훈련의 방향은 이 교수가 주도해 집필했다.이 명예교수는 역대 대통령 중 직업교육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진 이로 박정희 전 대통령을 꼽았다. 그는 “6·25전쟁 후 나라 재건의 바탕이 인재 양성이라고 생각한 박 전 대통령은 공업고 시설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후 전두환 대통령 시절부터 고급인력 양성정책으로 직업교육의 축이 전환되면서 중등직업교육은 차츰 쇠퇴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 등 사회적 변화로 기업들이 채용을 줄이면서 4년제 대학 이수자들은 눈높이를 점점 낮추고 있다. 이 명예교수는 “현재의 종합백화점식 대학 교육으로는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며 “미국처럼 연구·교육 중심 대학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책은 직업교육 정책서이지만 사회진출을 고민하는 이들에게는 '직업 철학서'이기도 하다. 이찬교수는 "평균수명이 100세로 늘어나는 긴 여정에 '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성찰없이는 삶의 현장에서 부딪히는 크고 작은 문제에 대해 자신 있는 태도를 취할 수 없다"며 "살면서 직업을 통해 느끼는 행복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책을 읽으면서 나름의 일과 삶에 대한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참고 자료를 곳곳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 책의 1차 독자는 학생이지만, 정부의 직업교육 정책을 담당하는 행정가들도 독자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 명예교수는 "교육개혁은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연속선상에서 계획되고 실천돼야 하는 100년 과업"이라며 "정부 정책이 잘못되면 후세에 미치는 여파가 크기에 직업교육 정책을 세우는 공무원들이 참고를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두 부자는 이 책 출간에 앞서 청소년들의 진로를 돕기 위해 '꿈꾸는 진로여행'을 함께 내놓기도 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