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건희 추모 열기…정치가 폄하해도 국민은 존중한다
입력
수정
지면A35
지난 25일 타계한 이건희 삼성 회장에 대한 국민적 추모 열기가 뜨겁다. 이 회장이 ‘혁신과 도전’으로 우리도 세계 1등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부심을 심어준 데 대한 감사의 뜻을 온·오프라인으로 전하는 국민이 많다. 삼성그룹의 모체 삼성상회의 옛터인 대구 시내엔 인근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분향소를 설치하고 추모식을 열었다. 이 회장이 1997년에 쓴 에세이집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는 구하려는 사람이 늘면서 온라인 중고서점에서 10만원 넘는 비싼 가격에 팔려 나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건희 신드롬’으로 해석한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 회장을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2030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물의 3분의 1 이상이 이 회장 관련 기사라고 한다. 서울대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서 한 학생은 “(이 회장의) 세계적 영향력은 세종대왕보다 낫다”며 “한글은 칭송해봤자 한국 안에서의 일인데, 세계 기술발전에 영향을 미친 반도체를 일으킨 것이야말로 위인으로 칭송받을 일”이라고 썼다. 고려대 커뮤니티 고파스에도 “솔직히 (이 회장은) 국민장(葬)을 해줘야 한다. 못해도 우리나라 GDP 합산 수십조원을 끌어올린 사람”이라는 글이 올라와 있다.이런 반응은 일부 정치권이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를 강화하고 무(無)노조 경영 등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며 이 회장을 폄하하는 추모 논평을 낸 것과 대조적이다. 여권 정치인들은 이 회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기해 지금 추진 중인 기업규제 3법 등의 정당성을 강변하려 했는지 모르지만, 많은 젊은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 극심한 취업난 등으로 좌절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겐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는 정치인보다는 ‘세계 1등’을 현실화해 보여준 이 회장이 더 영웅으로 비치는 건 어쩌면 당연할지 모른다.
모처럼 형성된 이 회장에 대한 국민적 추모 열기가 우리 사회에 만연한 반(反)기업 정서를 녹여냈으면 한다.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왜곡된 시각을 바로잡는 계기로 삼을 만하다. 기업은 국민들에게 일자리와 납세로 기여할 뿐 아니라 해외에서 한국인이란 자긍심까지 느끼게 해주는 국가의 소중한 자산이다. 이런 기업을 국민과 정부가 응원하고 돕지 않으면 누가 하겠는가. 기업들의 간곡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온갖 규제입법을 밀어붙이는 정치권이 깊이 성찰해야 할 대목이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 회장을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2030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물의 3분의 1 이상이 이 회장 관련 기사라고 한다. 서울대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서 한 학생은 “(이 회장의) 세계적 영향력은 세종대왕보다 낫다”며 “한글은 칭송해봤자 한국 안에서의 일인데, 세계 기술발전에 영향을 미친 반도체를 일으킨 것이야말로 위인으로 칭송받을 일”이라고 썼다. 고려대 커뮤니티 고파스에도 “솔직히 (이 회장은) 국민장(葬)을 해줘야 한다. 못해도 우리나라 GDP 합산 수십조원을 끌어올린 사람”이라는 글이 올라와 있다.이런 반응은 일부 정치권이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를 강화하고 무(無)노조 경영 등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며 이 회장을 폄하하는 추모 논평을 낸 것과 대조적이다. 여권 정치인들은 이 회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기해 지금 추진 중인 기업규제 3법 등의 정당성을 강변하려 했는지 모르지만, 많은 젊은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 극심한 취업난 등으로 좌절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겐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는 정치인보다는 ‘세계 1등’을 현실화해 보여준 이 회장이 더 영웅으로 비치는 건 어쩌면 당연할지 모른다.
모처럼 형성된 이 회장에 대한 국민적 추모 열기가 우리 사회에 만연한 반(反)기업 정서를 녹여냈으면 한다.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과 왜곡된 시각을 바로잡는 계기로 삼을 만하다. 기업은 국민들에게 일자리와 납세로 기여할 뿐 아니라 해외에서 한국인이란 자긍심까지 느끼게 해주는 국가의 소중한 자산이다. 이런 기업을 국민과 정부가 응원하고 돕지 않으면 누가 하겠는가. 기업들의 간곡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온갖 규제입법을 밀어붙이는 정치권이 깊이 성찰해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