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드 인력부터 'AI 준전문가'로 육성…국가적 차원의 운동 필요"

미리 보는 글로벌인재포럼 2020

이정동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

소수 AI 인재로는 변화 한계
AI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현장 전문직도 언제든 도태

1970년대 품질혁신 캠페인처럼
산업계 'AI 운동' 확산 나서야
“앞으로는 각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준전문가’ 정도는 돼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산업현장 곳곳에서 활동 중인 30~50대 약 1500만 명에게 이런 생각을 심어줄 국가적인 운동이 필요합니다.”

이정동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사진)는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AI 시대 ‘전문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소수의 핵심 AI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각 산업 분야에서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현장형 인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이 교수는 2015년 서울대 공대 동료 교수 26명과 함께 한국 산업의 위기를 진단한 저서 《축적의 시간》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석학이다. 지난해부터 청와대 경제과학특별보좌관으로 활동하고 있다.그는 다음달 11일 열리는 글로벌인재포럼 2020에서 ‘고수의 길’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한다.

그는 “소수 AI 인재를 육성하는 것에 초점을 둔 정책을 손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부 인재만 재교육받거나 외부에서 AI 전문가를 데려오는 것만으로는 전체적인 환경을 바꾸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AI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현장 전문직들마저도 언제든 AI로 대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학력·고숙련도가 필요한 작업일지라도 반복적인 업무라면 AI가 사람을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내 일부 병원에도 도입된 IBM의 AI 의사 ‘왓슨’, AI를 활용한 법률상담 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교수는 “소수 전문가만 양성한다면 현장 전문인력과 AI 전문가가 따로 노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며 “현장 전문가들이 AI를 얼마나 이해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직업 구조가 바뀔 것”이라고 했다.따라서 AI 적용을 위한 교육 시스템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 전문가를 위해 AI 평생교육을 도입하는 것은 물론 산업계와 소프트웨어(SW)학계가 ‘현장형 AI 전문가’를 길러낼 수 있는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 UC샌디에이고는 공과대학마다 AI 기초과목을 도입해 학부 시절부터 AI 활용을 고민하도록 하고 있다”며 “AI학과와 다른 학과들의 벽을 허무는 시도도 이어져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품질관리’라는 개념이 1970년대 국가적 캠페인을 거쳐 제조업 현장에서 폭넓게 받아들여진 것처럼 AI도 이런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1967년 KS표시제도를 제정해 공산품의 품질 향상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했고, 1975년을 ‘품질관리의 해’로 지정하는 등 국가적으로 품질관리 운동을 벌였다. 그는 “AI 활용은 품질관리처럼 모든 기업이 받아들여야 할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며 “모든 노동자가 AI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지만 실무에서 빅데이터 활용, 자동화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시대에 뒤처질 우려가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AI가 산업 전반에 적용되면 한국 산업의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스케일업’도 훨씬 수월해질 것이라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사소한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축적되는 노하우가 스케일업의 핵심인 만큼 AI가 도입되면 이런 문제 해결 과정이 더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스케일업은 오랜 시간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경험을 쌓는 것이고, 그러려면 기록과 아이디어를 축적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AI, 빅데이터, 알고리즘화가 전 산업에 도입되면 그만큼 스케일업을 앞당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 역량을 키우는 과제는 70%가 실무현장에서 발생한다”며 “현장의 다수를 차지하는 인력을 AI 준전문가로 키워내는 것이 한국 산업계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