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금동관 쓴 비화가야 여인…창녕 고분서 장신구 대량 출토

도굴 흔적 없는 교동 63호분서 매장 당시 상태로 발견
경남 창녕 교동 63호분에서 매장 당시 피장자가 착장한 상태로 발견된 금동관 모습.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남 창녕의 1500년 전 비화(非火)가야 지배자 무덤에서 금동관을 비롯한 다량의 장신구가 착용한 상태 그대로 출토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8일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의 63호분에서 비화가야 지배자의 꾸밈 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비화가야는 고대 6가야 중 창녕을 거점으로 삼은 세력이다. 목마산과 화왕산 기슭에 조성된 교동·송현동 고분군은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묘역이다.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63호분은 교동·송현동 고분군의 무덤 250여 기 가운데 유일하게 도굴 흔적이 없는 것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이번에 확인된 유물은 높이 21.5㎝의 금동관을 비롯해 관에서 늘어뜨린 금동 드리개와 금동 막대장식, 금으로 만든 굵은고리 귀걸이 1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와 은제 허리띠 등 무덤 주인의 몸에 둘렀던 장신구 일체다. 신발만 발견되지 않았을 뿐 지난달 경북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에서 출토돼 화제가 됐던 장신구 일체와 비슷한 구성이다.

피장자 머리 부분에서는 금동관이, 양쪽 귀 부분에서는 금귀걸이 1쌍이 확인됐다. 목과 가슴에는 남색 유리구슬을 3~4줄로 엮어 만든 구슬목걸이가, 허리에는 은허리띠가 둘러졌다. 손 부분에서는 은반지들이 확인됐다. 금동관은 맨 아래에 너비 3㎝가량의 관테(머리에 관을 쓸 수 있도록 둥글게 만든 띠)를 두르고, 그 위에 3단으로 이뤄진 3개의 나뭇가지 모양 장식을 세운 형태다. 세움 장식 밑면에는 관모(모자)로 추정되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국내에서 나온 금동관 가운데 머리에 씌운 직물의 흔적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 연구소의 양숙자 학예실장은 “굵은고리귀걸이가 발견되고, 큰 칼을 차지 않은 것으로 볼 때 무덤의 주인은 여성일 가능성이 크다”며 “발견된 꺾쇠 위치로 관의 크기를 추정했을 때 키는 155㎝ 정도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63호분의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다. 피장자의 머리가 남쪽을 향해 있다. 피장자의 머리 위쪽에는 토기와 철제유물들이 묻힌 부장 공간이 있고, 발치 아래에는 바닥을 약 40㎝ 낮춘 길이 220㎝, 너비 130㎝의 순장 공간이 확인됐다. 2명의 순장자가 안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순장자의 것으로 보이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금동제 가는고리, 항아리, 쇠도끼, 쇠낫 등도 나왔다. 피장자 주변에서 목질의 흔적과 꺽쇠들이 확인된 것으로 봐 상자형 목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이번 발굴이 일제강점기 이후 자행된 약탈과 도굴로 인해 전모를 알 수 없었던 비화가야 무덤의 축조 기법과 장송의례, 비화가야의 성격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