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시장 개입에 손 뗀 中, 당분간 '위안화 강세' 더 간다

'경기대응 요소' 적용 중단키로
경기회복 기대감에 6% 상승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기준환율을 결정할 때 ‘쏠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활용해온 ‘경기대응 요소(counter-cyclical factor)’ 적용을 중단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8년 8월 경기대응 요소를 재도입한 지 2년여 만에 다시 없앤 것이다. 시장에선 최근 지속되고 있는 위안화 강세가 가속화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국 금융시장에 외국인 자금 유입이 늘어나고 중국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일찍 벗어나면서 위안화 가치는 지난 몇 달 동안 강세를 보여 왔다.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가치는 5월 말 이후 6% 넘게 상승(환율 하락)했다.

인민은행은 역내·역외(홍콩 등)시장 환율과 주요국 통화 가치의 묶음인 통화바스켓, 그리고 14개 시중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경기대응 요소 등을 종합해 매일 외환시장이 열리기 전 기준환율을 고시한다. 역외시장 환율은 기준환율의 상하 2%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인민은행은 2017년 5월 경기대응 요소를 처음 도입했다. 2018년 1월 폐지했다가 2018년 8월 재도입했다. 두 차례 경기대응 요소를 도입한 것은 급격한 위안화 가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5년 말부터 2016년까지 위안화 절하가 지속되자 외국인 자금이 급속히 빠져나갔고, 이로 인해 주식시장이 붕괴되자 2017년 경기대응 요소를 도입했다. 이후 환율이 안정되면서 폐지했지만 2018년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시작되자 경기대응 요소를 부활시켰다.중국은 미국과의 갈등,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 성장의 중심축을 수출에서 내수로 이동시키고 있다. 내수 진작을 위해 소비를 확대하려면 수입이 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위안화 강세가 유리하다. 또 금융시장 개방을 확대하면서 외국인 자금 유입을 늘린다는 목표 실현을 위해서도 위안화 강세가 당분간 유지되는 게 바람직하다.

일부 금융시장 전문가는 경기대응 요소가 위안화의 가파른 절하를 방어하기 위한 도구였기 때문에 위안화 강세가 지속되는 현 시점이 경기대응 요소를 없애고 환율 결정을 시장에 맡길 수 있는 적절한 시기라고 보고 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