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면제세는 왜 중세에 활성화됐을까
입력
수정
지면S3
경제사 이야기영어에서 프리랜서(freelancer)는 특정 집단이나 기업에 소속되지 않은 자유 직업인을 총칭한다. 우리말로 프리랜서라고 쓰지만 영어로는 ‘프리랜스(freelance) 작가’ ‘프리랜스 배우’처럼 쓰는 게 일반적이다. 프리랜서는 고용주가 누구든 상관없이 맡겨진 일을 하고, 그 대가를 받는다. 일이 있는 곳을 찾아 여기저기 옮겨 다니므로 정해진 직장이 없고, 일이 없으면 보수도 없다.
보이는 경제 세계사
(8) 고급 백수를 위한 '중세판 고용정책' 용병
현대의 프리랜서는 자유 계약직이지만, 그 어원에는 흥미롭게도 중세 역사가 녹아 있다. 프리랜서는 ‘free’와 ‘lancer’의 합성어다. 랜서는 ‘랜스(lance)를 쓰는 사람’, 즉 중세의 용병을 가리킨다. 랜스는 로마제국 후기에 군대에서 사용한 짧은 투창인 ‘랑케아(lancea)’가 어원이다. 중세 기사들이 마상 시합 때 손에 들고서 마주보고 달리며 일합을 겨룰 때 쓰는 게 랜스다. 그러나 정작 중세 때는 프리랜서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19세기 초 영국 작가 월터 스콧이 쓴 소설 《아이반호》에서 중세 용병들을 ‘프리랜스’로 지칭한 것이 시초다. 이 소설에서 사자왕 리처드의 귀환에 동요하는 존 왕의 한 가신이 소집한 용병들을 프리랜스라고 부르며 “그 창은 어떤 주군에게도 헌신을 맹세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 그 유래다. 기사는 소년 시절부터 기사에게 필요한 무예 학문 예의범절 등을 익혀 실력이 쌓이면 기사 작위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말과 갑옷은 워낙 비싸 아무나 갖출 수 있는 장비가 아니었다. 주로 귀족의 자제들이 기사가 됐지만, 말과 장비를 유지할 경제력이 없으면 빚에 쪼들렸다. 이 때문에 용병 모집은 고급 백수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중세판 고용정책과 다름없었다.
병역을 돈으로 때운 기사, 돈으로 용병을 사는 왕
고대 시민병, 근대 상비군과 달리 중세에 특히 용병이 성행한 것은 시대적·경제적 배경과 연관이 깊다. 봉건제도는 476년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후 중앙집권이 지방분권으로 바뀌면서 형성된 게르만족 국가들의 독특한 정치·경제 체제다. 왕은 토지, 즉 봉토를 영주와 가신 등 봉신에게 주고 충성, 봉사, 납세 서약을 받았다. 영주는 다시 기사와 그런 주종 계약을 맺었다.봉토는 본래 세습할 수 없었지만, 10세기 들어 세습 토지로 변질됐다. 게르만족은 장자 상속 전통이 강해 다른 자식들은 빈털터리나 다름없었다. 수입이 보장된 용병 자리가 있으면 적극 가담한 이유다. 봉토를 받은 영주는 토지에서 나오는 수입을 챙길 권리를 갖고 군사·사법·행정적으로 왕에게 봉사할 의무도 있었다. 외적의 침입에 대한 대처와 전쟁 비용을 국왕과 영주들이 분담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하지만 예비군 소집이 그렇듯이 봉신들에게 왕의 군대 소집은 돈이 안 되고 귀찮은 일이었다. 또한 이런 시스템은 방어에는 유리해도 확장성을 갖기 어려웠다. 9세기 프랑크왕국이 분열되고, 전쟁이 빈번해지면서 프로 군사 집단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유다. 국왕은 상비군이 필요한 데 가진 게 많은 봉신들은 전쟁터에 나가기보다는 현상 유지를 원했다. 그런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봉신과 기사가 병역의무를 돈으로 때우는 병역 면제세인 ‘스쿠타지(scutage)’가 등장했다. 왕은 스쿠타지 수입으로 용병 기사들을 고용했다.
용병 기사는 12~14세기에 전성기를 맞았다. 당시 잉글랜드에서 기사의 80%가 병역 대신 스쿠타지를 낼 정도였으니 용병 수요도 그만큼 컸다. 중세 국가 간, 영주 간 전쟁도 실상은 용병끼리의 전쟁이었다. ‘프로 싸움꾼’인 이들은 평시에는 무술 연마에 치중하고, 전쟁에 나가 이기고 돌아오면 큰 배당을 받았다. 반면 싸움에 지고 포로가 될 경우 엄청난 배상금을 지불하기도 했다.
“내가 도망치면 후손의 일자리가 없다”
중세 용병 부대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스위스 용병이다. 스위스 용병은 13~15세기 유럽 최강이었고,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알프스 산지에 자리잡은 스위스는 무역과 상업이 발달하기 어려운 유럽 최빈국이었다. 지금이야 정밀산업, 제약, 명품 등으로 초고소득 국가가 됐지만, 중세 스위스는 ‘용병 파견업’이 국가의 유일한 산업이나 다름없었다. 일자리를 찾기 힘든 스위스의 청년들에게 용병은 선망의 대상이었다. 다른 대안이 없기에 스위스 용병들은 고용주와의 계약과 신의를 목숨처럼 여겼다.스위스 용병은 백년전쟁, 이탈리아전쟁 등에서 위용을 떨쳤고 로마 교황도 이들을 적극 고용했다. 특히 1527년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가 병사들의 급료 지급을 위해 로마 약탈에 나섰을 때의 일화가 유명하다. 교황령을 지키던 다른 나라 용병들은 다 도망쳤지만 스위스 근위대 500명은 고작 42명이 남을 때까지 자리를 지켰다.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이들에게 고국으로 돌아가라고 했지만, 결국 끝까지 싸우다 전부 전사했다. 그 덕에 교황은 무사히 피신했고, 이후 교황령에서는 스위스 용병만 고용했다. 오늘날까지 바티칸의 경비를 스위스 근위대가 맡고 있는 이유다.
1792년 프랑스혁명 당시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가 머물던 튈르리궁을 지키던 스위스 용병 786명도 모두 전사했다. 자신들이 도망치면 후손들이 용병 일자리를 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이유에서 끝까지 남았다고 한다. 스위스 루체른에 있는 ‘빈사의 사자상’은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용병은 르네상스 시기에도 위용을 떨쳤다. 이탈리아 북부의 주요 도시들은 있는 게 돈뿐이었기에 앞다퉈 용병을 고용했다. 하지만 16세기 후반 들어 용병의 위상이 급격히 떨어졌다. 근대 절대군주들이 상비군을 선호해 용병 수요가 줄었기 때문이다.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NIE 포인트
① 서양 중세시대에 여러 겹의 주종관계로 맺어졌던 봉건제가 몰락하고 중앙집권적인 절대군주제로 바뀌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② 조선시대에도 병역을 대신해 집마다 면이나 베 1포씩을 내도록 하는 호포법이 실시됐는데, 병역 의무 대신에 세금을 내도록 한 이유는 왜일까.
③ 최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사이 분쟁에서도 시리아 출신 용병이 참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용병을 고용하는 것이 윤리적 문제는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