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위기 '초일류'로 뚫는다
입력
수정
지면B1
흉내내지 못할 기술력…넘볼 수 없는 혁신 경영
'1등 DNA' 이식한 삼성 반도체
'세계 최초' 휩쓴 현대차 수소전기차
'대어' 품어 낸드 불씨 살린 SK하이닉스

국내 대기업들이 일군 성과다.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초일류’ 상품 및 기술을 내세워 성과를 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서도 대규모 인수합병(M&A)으로 승부수를 던지기도 했다. 품질과 기술에 대한 집착, 과감한 변화와 혁신 등 국내 기업인들의 경영이 빛을 봤다는 평가가 나온다.
‘애물단지’였던 반도체, 글로벌 1위로 우뚝

휴대폰 사업에서도 이 회장의 ‘초일류’ 유산을 찾아볼 수 있다. 이 회장은 1995년 경북 구미사업장에 불량 휴대폰 500억원어치를 모아두고 불태웠다. 불량률이 11.8%에 달했던 삼성 핸드폰 사업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다짐이었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배경엔 이 회장 때부터 내려온 ‘품질 경영’의 전통이 있다는 것이 기업들의 평가다.
세계 최초 수소전기 트럭 양산 성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정 명예회장의 뒤를 이어 글로벌 수소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유럽, 북미,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 수소전기 트럭을 수출하기 위해 내년까지 연간 최대 2000대 양산 체제를 갖출 계획이다.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수출하면서 비(非)자동차 부문에도 진출했다. 스위스의 수소저장 기술 업체와 손잡고 비상 전력 공급 및 친환경 이동형 발전기를 만들 예정이다.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사업도 인수
SK하이닉스는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인 인텔의 낸드 메모리 및 저장장치 사업을 인수해 이목을 끌었다. 인수 금액만 90억달러(약 10조원)로 국내 M&A 역사상 최대 규모다. 딥체인지(deep change), 즉 ‘사업의 근본적 변화’를 외치는 최태원 SK 회장의 경영철학 덕분에 이 같은 대규모 M&A가 성사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인수를 계기로 빅데이터 시대에 글로벌 낸드플래시 선두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LG전자는 ‘스팀 가전’ 라인업을 적극 강화하며 글로벌 가전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건강·위생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다. 100도까지 물을 끓이는 LG전자만의 방식으로 미세한 수분 입자를 만들어 의류, 식기 등을 구석구석 세척할 수 있다. 올 3분기에는 생활가전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영업이익(9590억원)을 기록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