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현대오일뱅크·만도…코로나 위기에 영구채 발행 나서
입력
수정
지면B7
경기침체 우려에 재무구조 개선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전 중인 기업들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줄줄이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기업이 추가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국내기업 올 들어 1兆 넘게 발행
국내 1위 영화관 업체인 CJ CGV는 지난달 30일 800억원 규모 영구채를 발행했다. 이번 영구채 금리는 연 4.55%로 결정됐으며 CJ CGV가 2022년 10월 30일부터 조기상환권(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조건이 붙어 있다.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영구채 금리가 매년 일정 수준 올라가도록 약속돼 있다.
이 회사는 연이은 적자로 나빠진 재무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고금리를 감수하고 영구채 발행에 나섰다. CJ CGV는 코로나19 여파로 영화 관객이 급감하면서 올 상반기에만 영업손실 202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652%였던 부채비율은 올해 6월 말 1135%로 뛰었다. 지난 7월 유상증자로 2209억원을 조달해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는 평가다.
CJ CGV 외에도 여러 기업이 영구채 발행에 뛰어들고 있다. 올 들어 2일까지 국내 일반기업(공기업·금융회사 제외)이 발행한 영구채 규모는 1조2190억원에 달한다. 가장 많은 금액을 조달한 곳은 현대오일뱅크로 세 차례 발행을 통해 4300억원을 확보했다. 이외에도 SK E&S(4000억원) 만도(2000억원) 풀무원(890억원) 등도 영구채로 대규모 자본을 쌓았다. 풀무원은 지난달 말 국내 일반기업 중 최초로 공모로 영구채(500억원)를 발행해 주목받았다. 기관투자가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의 투자도 받은 것이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영구채 발행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3%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1.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1%) S&P(-0.9%) 무디스(-0.8%) 등 주요 해외 기관도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