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고르기 들어간 르노삼성 노사갈등…노조 선거가 '관건'
입력
수정
르노삼성, 내주 차기 노조위원장 선거 앞둬노사 간 갈등을 지속한 르노삼성차가 올해 말까지 '불안한 평화'를 유지할 전망이다.
올해 임단협은 내년으로…XM3 물량 확보도 문제
3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 노조는 다음주 차기 노조위원장 선거를 단행한다. 이의제기 기간과 차기 집행부 구성 등을 감안할 경우 연내 임금 및 단체협약 타결이 어렵고, 이에 따라 노사 갈등도 당분간 숨고르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르노삼성은 올해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를 앞세운 공격적인 신차 출시 전략을 내세웠다. 소형 SUV 르노 캡처와 전기차 조에(ZOE), 중형 세단 더 뉴 SM6등을 연이어 선보이며 내수시장 공략에 나섰지만, 내부에서는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갈등을 겪어왔다.
지난해 임금협상을 올해 4월에야 타결한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 7월부터 올해 교섭을 시작했다. 지난 9월까지 6차례 실무교섭을 진행했지만 성과는 내지 못했다. 노조는 기본급 7만1687원 인상(4.69%)·700만원 일시금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로 기본급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부산공장의 시간당 인건비가 이미 본사의 프랑스 공장을 뛰어넘었다는 점도 르노삼성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6차례 실무협상에도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자 노조는 협상력을 높이고자 지난 8월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했다. 다만 전체 조합원 1983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9월 찬반투표에서 40% 가까운 반대표가 나오며 무산됐다. 민주노총 가입이 무산되자 노조는 지난달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 신청을 하고 조정중지 결정을 받아냈다. 합법적인 파업을 위한 쟁의권을 확보해 협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였다.
다만 아직까지 파업은 현실화되지 않았다. 합법적으로 파업을 하려면 조합원 찬반투표 등 절차가 남았는데, 차기 노조위원장 선출을 위한 선거 체제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선거기간 현 노조 집행부는 집권 중지된다. 이에 따라 임단협 협상도 중단된 상태다.
르노삼성의 차기 노조위원장 선거는 오는 9일 이뤄진다. 이의제기 기간 등을 거치면 18일부터 임기가 시작되고, 집행부 간부 구성과 인수인계 등을 감안할 경우 차기 노조 집행부의 본격적인 활동은 빨라도 내달부터나 가능할 전망이다. 남은 임단협 협상도 차기 노조 집행부의 몫이 됐다.차기 노조 집행부가 임기 시작부터 강성 투쟁 노선을 걸을 것으로 보긴 어렵다. 르노삼성이 르노그룹으로부터 XM3의 유럽 수출 물량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르노는 유럽에 선보일 XM3(현지명 아르카나)를 르노삼성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지만, 생산 물량은 확정하지 않았다.르노삼성은 연 10만대가 넘었던 닛산 로그 위탁생산 종료로 심각한 생산절벽을 겪고 있다. 닛산 로그 위탁생산 종료로 수출 물량이 75.8% 급감하면서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누적 생산량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9만9077대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만4736대에 비해 31.6% 감소한 수치다.
르노삼성은 8만~9만대 수준의 유럽향 XM3 물량을 확보해 생산절벽을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르노삼성이 계획대로 물량을 수주하더라도 닛산 로그의 공백을 모두 채우진 못하는 데다, 유럽 내 코로나19 재확산 등의 여파로 물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어려운 대외적 여건에도 최대한 많은 물량을 확보해야 하는데, 노사갈등마저 재발한다면 당초 목표를 달성하긴 어렵다. '노사갈등'이 '노사공멸'로 직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변수는 이번 선거에 출마한 현 노조 집행부다. 앞서 노조는 파업시기로 내년 2월께가 적절하다고 밝힌 바 있다. XM3의 유럽 수출이 본격화되고 물량이 들어오는 시기에 파업해야 회사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간 강경투쟁 노선을 걸어온 현 노조 집행부가 재선에 성공하면 르노삼성의 노사갈등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 노조 집행부 출범 이후 노사갈등이 반복됐지만 사실상 그 결과는 임금인상이 아닌 희망퇴직이었다"며 "강경투쟁에 회의감을 느낀 노조원이 늘어나 올해 초 파업 참여율도 20% 수준까지 떨어진 바 있다.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을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