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분산투자·평생소득 보장…'금융투자 프레임'이 바뀐다

코로나 장기화·증시 변동성 확대…
직접·집중투자 관점서 전환할 때

버블 붕괴 역풍 맞았던 MS처럼
FAANG도 高성장 변곡점 직면

새롭게 부각될 자산 주목해야
친환경·바이오 등이 대표적
Getty Images Bank
전 세계적으로 닥쳐온 코로나19 팬데믹은 자산시장과 투자 환경의 큰 전환점이 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연방기금 금리가 0%대로 인하됐고 동시에 1% 미만의 채권 및 예금금리 등 초저금리 시대가 급격히 찾아왔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통화 및 재정정책과 Fed의 자산 매입으로 인해 시중 유동성이 크게 증가하기도 했다. 이는 미국과 한국 주식시장에서 성장주의 역사적인 랠리를 만들었다.

올해 금융 투자에서 나타난 대표적 특징은 무엇보다 개인 주식 투자의 활황이라고 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지속돼 온 저성장과 저금리 추세가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개인들의 위기 의식과 투자 열풍을 급격하게 키웠다는 판단이다. 이제 코로나 사태 장기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 주식시장 등 자산시장 변동성이 재차 확대됨으로써 개인 투자 열풍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 투자의 프레임은 직접 투자, 집중 투자, 자본이득 추구 관점에서 분산 투자와 평생 소득 마련 관점으로 전환될 필요를 감지하게 된다.

분산 투자와 평생 소득 마련이 핵심

개인들의 주식 투자 증가와 관련해 빚을 내서 투자하는 ‘빚투’뿐 아니라 해외 주식 직구 증가도 불안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 매매 결제금액은 올 10월 말 기준으로 작년 총금액인 410억달러를 월등히 넘어선 1468억달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미국 주식이 90%를 차지하며,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빅테크 종목과 대표 성장주들에 상당 비중이 몰려 있다.

이들이 4차 산업혁명의 주축에 있고, 장기 성장이 유망하다는 점은 대체로 의심하지 않는 편이다. 그러면서도 최근의 가파른 주가 상승과 과도한 고평가 논란 역시 주식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함께 계속 부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대대적으로 풀린 시중 유동성으로 인해 달러 가치와 원·달러 환율이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미국 성장주에 집중된 해외 주식 매수 포지션의 위험도를 높이고 있기도 하다.마이크로소프트는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의 정보기술(IT), 닷컴 버블 기간 동안 대표적인 시장지수(나스닥) 지배자였다. 그러나 반독점 이슈가 불거지고, 버블이 붕괴되면서 마이크로소프트가 나스닥지수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은 2002년 고점인 13%에서 2015년에 이르러 4.3%까지 밀리게 된다.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은 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한 달라진 패러다임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등을 대체해 현재의 나스닥지수 지배 그룹으로 자리잡았다. 아마존, 애플, 구글의 시가총액이 나스닥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년 만에 1.8%(2004년 8월)에서 27.2%(2020년 8월)까지 높아지게 됐다.

그런데 이제는 이들 빅테크 기업과 플랫폼 업체들이 20여 년 전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반독점 등 규제 리스크와 고성장의 변곡점에 직면했는지 고민할 시점이다.

유연한 투자해야

고령화, 4차 산업혁명 등의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추종하는 자산에 장기 투자하는 것은 저성장, 초저금리 시대에 대비하는 명확한 해법임에 틀림없다. 다만 보다 유연한 투자 관점을 적용해야 한다. 앞으로 20년 이상 진행될 메가트렌드에서 새롭게 부각될 글로벌 자산에 주목해야 한다. 친환경, 바이오 분야가 대표적일 수 있다. 이들을 일부 종목에 국한해 집중 투자하기보다 상장지수펀드(ETF) 등 지수형 투자를 활용한 분산 기법으로 접근하는 게 효과적이다. 한편 미국 채권수익률의 대세 하락과 변동성 축소를 감안한다면 중국 등 성장 지역으로 폭을 넓힌 자산군(채권, 주식 등)의 배분 변화도 같이 시도해야 한다.향후 장기간의 금융 투자에 있어서 핵심에 둘 또 한 가지는 평생 소득 구축 관점이다. 안정된 연금구조를 통해 평생 소득의 뼈대를 세워야 하고, 이중 사적 연금(퇴직 및 개인연금)은 장기 투자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야 한다. 연금의 장기 투자자산 포트폴리오로는 예금 이자를 대체해 안정적인 소득원을 제공할 수 있는 리츠, 배당주 펀드 등 인컴 자산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들은 자산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에서도 저가 분할 매수, 배당재투자 효과 등으로 연금 자산의 장기 수익률을 극대화시킨다.

박영호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연구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