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이 된 사모펀드…게이트로 비화
입력
수정
이른바 ``사모펀드 사태``가 온 나라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수익률 조작 의혹이 돌던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라임 사태``에 이어 올해 6월 ``옵티머스 사태``로까지 번졌는데, 이 과정에서 사기와 불완전판매는 물론, 정·관계, 재계 유력 인사 로비 의혹으로 이어진건데요.금융권은 물론, 정치권까지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사모펀드 사태``를 박승원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지난해 7월 편법 거래,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이 불거지면서 시작된 ``라임 사태``.국내 헤지펀드 1위인 라임자산운용이 코스닥 기업들의 전환사채(CB) 편법 거래 등을 통해 수익률을 돌려막는다는 논란이 불거진 겁니다.
논란이 확산되자 금융감독원이 현장 검사에 나섰습니다.
라임 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금감원의 검사까지, 잇따른 악재가 불거지면서 펀드의 신규 자금 유입은 급감했습니다.이 과정에서 코스닥 시장마저 부진한 가운데 해당 펀드가 투자한 기업들의 주가 급락까지 더해지면서 펀드 내 유동성 경색이 심화됐습니다.
결국, 금감원의 검사 착수 2달만에 6,030억원 규모의 1차 환매 중단이, 그리고 그 뒤를 이어 2,436억원 규모의 2차 환매 중단이 발생합니다.
원종준 /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 (2019년 10월14일 기자간담회)"관련 펀드들의 추가적인 환매 및 상환을 연기하고 펀드 편입 자산의 적정 가격 회수 후 고객들에게 형편에 맞게 배분해드리는 것이 현 시점에서 저희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결정했습니다."
라임펀드의 대규모 환매 사태를 계기로 금감원은 라임과 파생 계약을 한 증권사들은 물론, 라임과 유사한 사모펀드에 대한 전수 조사에 나섭니다.
이 과정에서 라임자산운용은 물론, 라임 펀드를 판매한 은행과 증권사들의 손실가능성 회피, 불완전판매, 뇌물 수수 등 불법 사실이 밝혀지게 됩니다.
라임 사태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올해 6월.
라임과 비슷한 사기 사건인 ``옵티머스 사태``가 또 다시 국내 사모펀드 시장을 뒤흔듭니다.
대체투자 운용사인 옵티머스자산운용이 만기를 하루 앞두고 자신들의 사모펀드를 판매했던 증권사들에게 환매 연기를 통보한 겁니다.
즉시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나섰고, 판매사인 증권사의 고발로 검찰 역시 수사에 착수합니다.
그러는 사이 라임 사태와 마찬가지로 추가 환매 연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 금감원의 검사를 통해 옵티머스 펀드가 당초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공공기관 등 우량채권이 아닌 부실채권에 투자했고, 이 과정에서 문서까지 위조한 정황이 밝혀집니다.
그리고 그 화살은 금융당국의 감독 실패에 대한 추궁으로 이어집니다.
권은희 / 국민의당 의원 (10월12일 정무위 국정감사)
"(사모펀드 운용사) 진입 장벽 완화에 따라서 운용사가 5년 동안 15배 증가했습니다. 역량 미흡 운용사도 같이 증가하면서…"
유동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10월12일 정무위 국정감사)
"반응하는 신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계속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단순 금융사기에서 출발한 라임·옵티머스 사태는 라임자산운용의 실질적 몸통으로 지목받은 한 인사의 법정 발언과 옥중서신을 통해 급변하게 됩니다.
해당 인사는 정권 인사는 물론, 야권 인사와 검사에게 로비했다고 폭로하면서 라임·옵티머스 사태는 정국의 뇌관으로 부상한 겁니다.
피해액 2조원이 넘는 금융사기에서 ``권력형 비리게이트``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라임·옵티머스 사태.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박승원기자 magun1221@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익률 조작 의혹이 돌던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라임 사태``에 이어 올해 6월 ``옵티머스 사태``로까지 번졌는데, 이 과정에서 사기와 불완전판매는 물론, 정·관계, 재계 유력 인사 로비 의혹으로 이어진건데요.금융권은 물론, 정치권까지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사모펀드 사태``를 박승원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지난해 7월 편법 거래,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이 불거지면서 시작된 ``라임 사태``.국내 헤지펀드 1위인 라임자산운용이 코스닥 기업들의 전환사채(CB) 편법 거래 등을 통해 수익률을 돌려막는다는 논란이 불거진 겁니다.
논란이 확산되자 금융감독원이 현장 검사에 나섰습니다.
라임 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금감원의 검사까지, 잇따른 악재가 불거지면서 펀드의 신규 자금 유입은 급감했습니다.이 과정에서 코스닥 시장마저 부진한 가운데 해당 펀드가 투자한 기업들의 주가 급락까지 더해지면서 펀드 내 유동성 경색이 심화됐습니다.
결국, 금감원의 검사 착수 2달만에 6,030억원 규모의 1차 환매 중단이, 그리고 그 뒤를 이어 2,436억원 규모의 2차 환매 중단이 발생합니다.
원종준 /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 (2019년 10월14일 기자간담회)"관련 펀드들의 추가적인 환매 및 상환을 연기하고 펀드 편입 자산의 적정 가격 회수 후 고객들에게 형편에 맞게 배분해드리는 것이 현 시점에서 저희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결정했습니다."
라임펀드의 대규모 환매 사태를 계기로 금감원은 라임과 파생 계약을 한 증권사들은 물론, 라임과 유사한 사모펀드에 대한 전수 조사에 나섭니다.
이 과정에서 라임자산운용은 물론, 라임 펀드를 판매한 은행과 증권사들의 손실가능성 회피, 불완전판매, 뇌물 수수 등 불법 사실이 밝혀지게 됩니다.
라임 사태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올해 6월.
라임과 비슷한 사기 사건인 ``옵티머스 사태``가 또 다시 국내 사모펀드 시장을 뒤흔듭니다.
대체투자 운용사인 옵티머스자산운용이 만기를 하루 앞두고 자신들의 사모펀드를 판매했던 증권사들에게 환매 연기를 통보한 겁니다.
즉시 금감원이 현장 검사에 나섰고, 판매사인 증권사의 고발로 검찰 역시 수사에 착수합니다.
그러는 사이 라임 사태와 마찬가지로 추가 환매 연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 금감원의 검사를 통해 옵티머스 펀드가 당초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공공기관 등 우량채권이 아닌 부실채권에 투자했고, 이 과정에서 문서까지 위조한 정황이 밝혀집니다.
그리고 그 화살은 금융당국의 감독 실패에 대한 추궁으로 이어집니다.
권은희 / 국민의당 의원 (10월12일 정무위 국정감사)
"(사모펀드 운용사) 진입 장벽 완화에 따라서 운용사가 5년 동안 15배 증가했습니다. 역량 미흡 운용사도 같이 증가하면서…"
유동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10월12일 정무위 국정감사)
"반응하는 신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계속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단순 금융사기에서 출발한 라임·옵티머스 사태는 라임자산운용의 실질적 몸통으로 지목받은 한 인사의 법정 발언과 옥중서신을 통해 급변하게 됩니다.
해당 인사는 정권 인사는 물론, 야권 인사와 검사에게 로비했다고 폭로하면서 라임·옵티머스 사태는 정국의 뇌관으로 부상한 겁니다.
피해액 2조원이 넘는 금융사기에서 ``권력형 비리게이트``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라임·옵티머스 사태.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박승원기자 magun1221@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