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 최전방 철책 넘는 동안 '첨단 센서' 아예 안울렸다
입력
수정
하루 전에도 감시장비 2회 포착…과학화장비 총동원하고도 "지형 탓 관측 불가" 민간인 귀순자로 추정되는 북한 남성 1명이 강원도 동부 전선의 군사분계선(MDL) 철책을 넘는 동안 경계감시 강화를 위해 최전방 전 지역에 설치된 '첨단 센서'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군은 해당 남성이 월남하기 하루 전 이미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첨단 경계감시장비를 총동원하고도 철책을 넘고 10여 시간이 지나서야 신병을 확보해 이른바 '과학화' 장비들이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4일 합동참모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월남한 북한 주민 A씨는 전날 오후 7시 25분께 고성 지역 MDL 철책을 짚고 월남하는 장면이 군 열상감시장비(TOD)에 실시간 포착됐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월책 당시 센서가 울렸느냐'는 질문에 "광망(철조망 감지센서)은 울리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이어 고장 여부를 확인해 필요한 보완 조치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을 포함한 전 GOP(일반전초) 지역은 과학화경계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사람이나 동물이 철책에 닿으면 센서가 울리며 5분 대기조가 즉각 출동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아예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이와 관련 합참은 "투입 병력이 가기 전에 이미 (A씨가) 월책을 하고 나서 관측으로부터 사라진 상태였다"며 "그 지역이 가파른 경사지로 접촉 안된 상태에서 봉쇄선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탐색 계속하면서 오늘(4일) 아침에 접촉해 신병을 확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합참의 설명을 종합하면, '과학화 경계감시 장비'의 문제는 월남 상황이 벌어지기 이전에도 확인됐다.
A씨의 월남 하루 전인 지난 2일 오후 10시 14분, 10시 22분께 등 두 차례 동일인으로 보이는 사람이 MDL 일대 이북 지역을 배회하는 장면이 TOD에 찍혔으나 이후엔 관측되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2일 최초 포착 이후) 다양한 우발에 상황에 대비 정보감시형태를 격상하고 비무장지대(DMZ) 수색 작전, 비상주 GP 병력 투입, 기동 TOD 운용 등 감시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다만 이후 다음날 3일 철책을 넘기 전까지는 추가로 포착되지 않았다며 "동부전선의 경우 겨울이지만 아직 수풀이 우거진 상태고, 지형에 따라 사각지대가 다소 있다"며 "관측 불가가 되고 나서도 (신병확보) 작전이 끝날 때까지 감시경계태세 강화했던 부분을 계속 유지했다"고 부연했다.
각종 경계감시 장비와 병력이 총동원됐지만, 지형에 따른 감시 사각지대 등으로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군이 A씨의 신병을 확보한 건 월남 12시간여 만인 이날 오전 9시 50분께다.
이날 오전 탐색작전을 벌이던 기동수색팀이 A씨를 발견했으며, 수색팀이 그의 신분을 확인해 그 자리에서 신병을 확보했다고 군은 밝혔다.
이 과정에서 A씨는 귀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견 지점은 민통선 이북의 산악지역으로, 민가 주변은 아니었다고 군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4일 합동참모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월남한 북한 주민 A씨는 전날 오후 7시 25분께 고성 지역 MDL 철책을 짚고 월남하는 장면이 군 열상감시장비(TOD)에 실시간 포착됐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월책 당시 센서가 울렸느냐'는 질문에 "광망(철조망 감지센서)은 울리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이어 고장 여부를 확인해 필요한 보완 조치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을 포함한 전 GOP(일반전초) 지역은 과학화경계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사람이나 동물이 철책에 닿으면 센서가 울리며 5분 대기조가 즉각 출동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아예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이와 관련 합참은 "투입 병력이 가기 전에 이미 (A씨가) 월책을 하고 나서 관측으로부터 사라진 상태였다"며 "그 지역이 가파른 경사지로 접촉 안된 상태에서 봉쇄선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탐색 계속하면서 오늘(4일) 아침에 접촉해 신병을 확보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합참의 설명을 종합하면, '과학화 경계감시 장비'의 문제는 월남 상황이 벌어지기 이전에도 확인됐다.
A씨의 월남 하루 전인 지난 2일 오후 10시 14분, 10시 22분께 등 두 차례 동일인으로 보이는 사람이 MDL 일대 이북 지역을 배회하는 장면이 TOD에 찍혔으나 이후엔 관측되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2일 최초 포착 이후) 다양한 우발에 상황에 대비 정보감시형태를 격상하고 비무장지대(DMZ) 수색 작전, 비상주 GP 병력 투입, 기동 TOD 운용 등 감시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다만 이후 다음날 3일 철책을 넘기 전까지는 추가로 포착되지 않았다며 "동부전선의 경우 겨울이지만 아직 수풀이 우거진 상태고, 지형에 따라 사각지대가 다소 있다"며 "관측 불가가 되고 나서도 (신병확보) 작전이 끝날 때까지 감시경계태세 강화했던 부분을 계속 유지했다"고 부연했다.
각종 경계감시 장비와 병력이 총동원됐지만, 지형에 따른 감시 사각지대 등으로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군이 A씨의 신병을 확보한 건 월남 12시간여 만인 이날 오전 9시 50분께다.
이날 오전 탐색작전을 벌이던 기동수색팀이 A씨를 발견했으며, 수색팀이 그의 신분을 확인해 그 자리에서 신병을 확보했다고 군은 밝혔다.
이 과정에서 A씨는 귀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견 지점은 민통선 이북의 산악지역으로, 민가 주변은 아니었다고 군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