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0% "미세먼지 심각"…저감 대책 증세는 "반대"
입력
수정
6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이 재정패널조사의 부가조사로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해 질문한 결과 7697가구 중 83.7%가 심각하고 응답했다. 29.1%는 "매우 심각하다", 54.6%는 "어느정도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으로는 해외요인이 더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미세먼지 발생 원인 중 국내요인은 40.9%, 국외 요인은 59.1%를 차지한다고 응답했다.하지만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위해 세금을 부과하는 것에는 절반 이상인 57.8%가 반대했다. 찬성하는 사람 중에서도 연간 5만원 이상의 증세를 수용하는 인원은 극히 적었다. 찬성자 중 54.4%는 연 1만원 미만을, 37.7%는 1만원 이상~5만원 미만 수준에서 증세해야한다고 답했다.
실제로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정치권 안팎에서는 경유차에 대해 세금을 더 물리는 경유세를 도입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전환포럼은 경유차에 부과하는 유류세가 휘발유의 120% 수준으로 인상될 경우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은 2016년 대비 최대 7.4% 감소하고, 경유 세입은 2018년 대비 최대 10조2000억원 늘어나게 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최근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에 제출하기도 했다.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인해 향후 친환경 차량 구매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조사 대상자 중 38.1%가 향후 차량 구매시 전기차를 구매하겠다고 답했다. 25.4%는 하이브리드차를, 8.9%는 수소차를 골랐다. 휘발유차(16.7%), LPG차(4.2%), 경유차(4.3%) 등은 상대적으로 적었다.2018년 말 기준으로 공기청정기를 구입한 가구는 전체의 17.6%였다. 이들 가구의 평균 지출액은 56만9000원이었다. 4.4%는 4만6000원을 내고 렌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