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대륙봉쇄령 세계 경제를 바꿨다
입력
수정
지면S3
경제사 이야기유럽 열강들은 식민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1756년부터 1763년까지 7년 전쟁을 벌였다. 유럽 국가 간의 1차 세계대전이라고 할 이 전쟁에서 패한 프랑스는 인도, 북아메리카 등의 식민지를 잃었다. 그 후유증으로 1789년 프랑스혁명이 터졌고, 뒤이어 혁명전쟁과 이탈리아 원정이 전개됐다. 이런 혼란기에 나폴레옹이 1799년 11월 9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나폴레옹은 혁명 에너지를 나라 밖으로 돌렸다. 나폴레옹은 개병제에 따라 징집된 150만 대군, 빠른 기동력, 알프스를 넘는 변화무쌍한 전술에 힘입어 파죽지세로 유럽을 장악해 나갔다. 이것이 2차 유럽 대전인 나폴레옹 전쟁(1803~1815)이다.
보이는 경제 세계사
(9) 실패로 끝난 프랑스의 보호무역
강한 군대도 먹어야 싸울 수 있다
19세기 초에도 군대의 이동 수단은 말 또는 행군이었다. 2000년 전 로마 군대와 다를 게 없었다. 나폴레옹 군대는 주력이 보병이었기에 기동력을 유지하려면 병사의 개인 장비를 줄이고 강행군하는 것뿐이었다. 문제는 보급도 뒤따라야 하는데, 원정 거리가 길어질수록 보급도 멀어진다는 점이었다. 전투는 총과 대포로 금방 결판이 나더라도 전쟁은 속전속결이 불가능했다.나폴레옹도 이미 이런 문제를 인식해 병참 조직을 체계화하고 병사들에게 식량을 제공했다. 그는 상금을 걸고 음식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공모하기도 했다. 그러나 병사에게 지급된 빵은 베개로 쓸 만큼 딱딱했고, 고기 야채 등은 바로 먹을 수 없었다. 이것저것 다 넣고 끓여야 그나마 먹을 만했는데, 그럴수록 행군 속도는 느려졌다. 결국 현지 조달로 방향을 틀었다. 나폴레옹 군대가 식량 조달이 쉬운 지역과 어려운 지역에서 전과가 달랐던 이유다.파죽지세이던 나폴레옹이 몰락한 러시아 원정이 그런 경우다. 러시아가 나폴레옹의 대륙봉쇄령을 어기고 영국과 무역을 재개하자 나폴레옹은 1812년 6월 60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를 침공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러시아 군대는 후퇴를 거듭했지만, 나폴레옹의 약점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나폴레옹 군대의 현지 조달을 원천 봉쇄하는 이른바 ‘초토화 작전’을 구사했다.
러시아군은 불을 질러 집과 풀, 식량 한 톨 남기지 않고 후퇴했다. 이로 인해 나폴레옹 군대는 3개월 만에 모스크바에 입성할 만큼 빠르게 진격했지만, 말을 먹일 풀도 없이 기마대가 와해되고 병사들은 굶주림에 시달렸다.결국 나폴레옹 군대는 러시아군의 반격과 점령지 유격대의 기습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다 추위까지 닥치자 전의를 상실하고 퇴각해야 했다. 불과 6개월 새 핵심 전력을 잃은 나폴레옹은 계속 수세에 몰린 끝에 워털루 전투에서 패하며 몰락했다. 이후 1880년 차이코프스키는 러시아의 승리를 기념해 대포 소리가 웅장한 ‘1812년 서곡’을 지었다.
8년간의 대륙봉쇄, 보호무역의 원조
나폴레옹은 개전 직후 대륙에서는 승승장구했지만, 바다는 넘지 못했다. 그는 1805년 영국을 침공하려다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넬슨 제독에게 저지당했다. 프랑스 해군 함정 22척이 침몰했지만 영국 해군은 한 척도 파괴되지 않았을 만큼 완패였다. 나폴레옹은 영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대륙봉쇄령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꺼내들었다. 영국과 교역하는 나라에 미리 선전포고한 것이다.나폴레옹에게 대륙봉쇄령은 충분히 선택할 만한 전략이었다. 당시 영국은 산업혁명이 왕성하게 진행 중이었다. 면직물 수출로 경제가 급성장했고 증기기관 등의 발명이 속출했던 시절이다. 따라서 영국의 무역을 봉쇄하면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는 시각은 근거가 없지 않았다. 실제로 영국은 대륙봉쇄령 탓에 경제적으로 심각한 어려움에 처했다. 영국 상선이 공격당하고, 생활이 어려워진 국민의 불만이 고조됐으며 1812년에는 미국과 전쟁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증대돼 쉽사리 무너지지 않았다.영국은 전시 특별세로 신설된 소득세를 걷어 전비를 감당했다. 또한 스페인 무적함대를 무찌른 세계 최강의 해군이 건재했다. 영국은 나폴레옹의 대륙봉쇄에 맞서 프랑스와 동맹국 간의 교역을 막는 역해상 봉쇄에 나섰다. 프랑스와 동맹국들도 생필품 부족, 물가 폭등으로 극심한 어려움에 처했다. 결국 스웨덴 포르투갈 등이 대륙봉쇄령을 거부하기에 이르렀고, 1810년 러시아마저 영국과 무역을 재개했다. 농업국인 러시아는 영국의 공산품 수입이 없으면 살기 어려운 처지였다.
대륙봉쇄령은 영국의 시장 독점을 깨기 위한 프랑스의 의도가 깔려 있었다. 하지만 영국의 생산력은 유럽의 모든 나라를 압도한 반면 프랑스는 그럴 만한 생산 기반을 갖지 못했다. 러시아는 물론 프로이센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이미 영국과 교역 없이는 경제를 유지하기 어려운 구도에 편입돼 있었다. 이런 판국에 다짜고짜 교역을 금지하니 반발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산업혁명으로 경제적 이해관계가 정치·군사적 이해관계를 압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유럽 대륙에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 8년간 계속된 대륙봉쇄 시기에 산업혁명에 뒤처진 나라들이 자국 산업을 키울 시간을 번 것이다. 마라톤에서 혼자 선두로 나선 선수를 멈춰 세워 놓은 것과 마찬가지였다. 영국의 질 좋고 저렴한 면직물 수입이 금지된 동안 다른 유럽 국가들과 미국은 영국과의 격차를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었다. 이런 경험은 자유무역이 이득인 줄 알면서도 수시로 보호무역의 장벽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군대는 기병에서 포병 중심으로, 동력은 마차에서 증기기관차로 탈바꿈한 것도 나폴레옹 전쟁이 가져온 변화다.오형규 한국경제신문 논설실장
NIE 포인트
① 유럽에서 시작한 산업혁명과 자유무역이 오늘날 전 세계를 관통하는 국제규범이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②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이 산업혁명과 민주주의(프랑스혁명의 3대 정신인 자유·평등·박애)를 유럽에 확대한 계기가 됐을까.
③ 최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와 미·중 갈등 등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대두하고 있는데 앞으로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가운데 어느 쪽이 더 득세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