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조던 교수 "새로운 가치 만드는 AI 시장 키워야"[글로벌인재포럼 2020]
입력
수정
마이클 조던 UC버클리대 교수“인공지능(AI)은 ‘기술’이 아니라 인간을 돕는 ‘학문’입니다. 사람을 뛰어넘는 일은 300년 후에나 가능할 겁니다.”
"구글 알파고는 AI 아닌 검색 엔진"
마이클 조던 미국 UC버클리 전기공학 및 컴퓨터학과 교수는 11일 서울 광장동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20’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100년 전 전기공학이란 학문이 태동해 전기제어 시스템 개발에 큰 역할을 했듯이 AI도 삶의 질 향상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조던 교수는 AI 분야 세계 최고 권위자다. 2016년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는 그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컴퓨터 공학자’로 꼽았다.
"AI는 인간의 조력자"
조던 교수는 AI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선 AI를 기술이 아니라 여러 학문의 하나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화학공학 등의 학문과 같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는 게 아니라 인간의 지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조던 교수는 AI가 ‘인간의 조력자’로 이미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쇼핑 습관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추천·예측을 하는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그는 “여러 사람의 구매 패턴을 분석해 특정인에게 보여주는 것도 AI의 영역”이라고 정의했다. AI가 인간에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생애에 3세 어린 아이 지능을 뛰어넘는 AI가 나타날 수 없다고 확신한다”며 “이들을 따라잡는데 최소 100년~300년이 걸린다”고 했다.
2016년 구글 알파고가 이세돌 프로 바둑기사를 누른 일도 언급했다. 조던 교수는 “수백~수천 개의 컴퓨터를 동원해 바둑판 위에서 가능한 수를 찾은 것”이라며 “지능을 가졌다기보단 검색을 더 잘했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절하했다. 복잡한 계산을 더 빨리 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 지닌 지능을 지녔다고 볼 수 없단 얘기다.
"AI 부작용 막는 게 올바른 활용법"
조던 교수는 AI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AI를 통한 주식 추천 시스템을 꼽았다. 조던 교수는 “예를 들어 중국인 수억 명에게 AI가 같은 주식을 추천해준다면 해당 주식의 주가는 왜곡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규제할 마땅한 방법도 없어 AI가 미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미리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던 교수는 AI가 어떤 새로운 가치를 만들거나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측면에서 승객과 기사를 연결해주는 우버나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해주는 아마존, 알리바바 등은 AI를 활용하는 좋은 사례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지만 SNS인 페이스북이나 구글의 경우 광고수익을 더 올리는 데 중점을 둬 검색엔진 등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최근 조던 교수가 눈여겨 보고 있는 회사는 유럽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유나이티드 메이더스’란 회사다. 이 회사는 무명의 작곡가들이 음악을 만들어 올려 놓으면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이를 듣거나 활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어느 나라의 어느 도시에서 내 음악을 많이 듣는지 등을 알려준다. 조던 교수는 “콘서트를 열더라도 자신의 음악이 인기있는 곳을 방문해 열 수 있는 데이터를 주고 있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많이 듣는 음악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들 수 있도록 AI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AI 기술력에 있어서 미국이나 중국이 앞서긴 하지만 다른나라도 걱정할 것 없다고 설명했다. 공공정책에 대한 의사 결정 등 해당 지역 만의 특색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활용하는 일이 많다고 정의했다. 그는 “예를 들어 브라질 전문가들 역시 해당 국가의 특색이 반영된 데이터를 통해 AI를 활용할 수 있다”며 “미리 포기하지 말고 해당 분야의 인재를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