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硏 "전기료에 태양광 비용도 걷어야"…'전기요금 개편 토론회'
입력
수정

11일 정연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투명하고 예측가능한 전기요금체계 구축'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발표를 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장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대한전기협회가 주관했다. 대한전기협회는 한국전력 및 발전공기업들이 내는 회비로 운영되는 비영리법인이다.
토론회에는 이학영 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과 김종갑 한전 사장 등 정부 측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환경단체 관계자와 법률·회계 전문가도 토론에 참여했다. 김진우 건국대 교수, 김성수 한국산업기술대 교수, 이성범 화우 변호사,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 임지산 삼일회계법인 상무, 홍혜란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총장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정 위원은 현행 전기요금 체제가 유가 변동 등 원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비효율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은 "유가가 올라도 전기요금은 따라 오르지 않다 보니 가스 등 다른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게 효율적인 상황에서도 전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며 "유가가 올라도 전기요금이 오르지 않아 한전 적자가 누적되는 것도 문제"라고 했다.
정 위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가 변동에 따라 전기요금을 조정하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총생산(GDP) 상위 30개국 중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하지 않은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는 설명이다. 정 위원은 또 기후변화 대응 및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영국과 독일 등은 관련 비용을 전기요금에 포함시키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들의 에너지전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제도적인 개선 방안으로 전기요금 조정 기준 및 관련 원칙 수립을 제안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3년 주기로 유가와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해 전기요금을 조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정 위원의 발표는 정부와 한전 등이 지난 수 년간 주장했던 전기요금 체계 개편 방향과 일치한다. 다만 이 같은 개편이 현실화되면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