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끌고 '화·선' 밀고…코스피 단숨에 2500 돌파
입력
수정
지면A1
"상승 사이클 진입 청신호"
사상 최고치까지 60P 남아


반도체 외에 조선주가 급등했고, 자동차 관련주도 강세를 이어갔다. 핵심 제조업체의 주가가 돌아가며 오르는 순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순환을 뒷받침하는 요인은 한국 핵심 기업의 내년 실적 전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내년 실적 전망치가 있는 상장사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180조2114억원에 달했다. 역대 가장 많은 이익을 냈던 2018년(177조5323억원)을 웃도는 수치다. 반도체업체들이 굳건히 버티고 있는 데다 자동차 화학 조선업체의 실적이 크게 개선된 덕이다. 국내 자동차업체의 내년 영업이익은 2014년 이후 7년 만에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슈퍼사이클’을 맞이한 화학업종(8조541억원)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오랜 시간 바닥을 다진 조선업체들도 2010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주가를 끌어올리는 외부적 요인인 환율은 이날도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은 6원30전 내린 달러당 1109원30전에 마감했다. 2018년 12월 4일(1105원30전) 후 최저치다. 환율은 장중에 달러당 1105원 선까지 떨어졌지만 외환당국이 시장에 개입하면서 낙폭을 줄였다.
김익환/박재원/전범진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