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O '일본해' 대신 번호 표기 합의…논란은 여전
입력
수정
국제수로기구(IHO) 표준 해도집에서의 동해를 지명이 아닌 고유 식별번호로 표기하는 새로운 방식이 도입된다. 식별번호가 90여년 간 공식 명칭 지위를 지킨 ‘일본해’를 대체한 가운데 동해 명칭을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의 씨앗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외교부에 따르면 IHO 회원국들은 지난 16일 화상으로 개최된 ‘S-23의 미래에 대한 비공식 협의 결과 보고’ 관련 총회 토의에서 해도집 ‘S-130’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마티아스 요나스 IHO 사무총장이 보고한 S-130은 기존 해도집인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의 개정판이다. 바다를 명칭 대신 고유 식별번호로 표기한다는 것이 핵심이다.‘일본해’ 명칭은 1929년 S-23 초판 때부터 표기돼왔다. 한국 정부는 1997년부터 ‘동해’ 병기를 주장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일본 정부의 ‘일본해’ 단독 표기 주장의 근거도 S-23 해도집이었다. 한·일 양국은 그동안 이견을 좁히지 못했지만 IHO가 번호로 바다 명칭을 표기하는 방식을 제안하며 절충점이 마련됐다.
IHO는 총회 결과를 회원국에 서면으로 회람한 뒤 12월 1일께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IHO는 ‘일본해’ 명칭을 담은 기존의 S-23은 출판물로만 공개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IHO 사무총장 보고서상 제안에서도 S-23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역사적 변천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에 나온 출판물로서만 공개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동해 명칭을 둘러싼 한·일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IHO 사무국장 안에는 S-23을 “계속해서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다”고 명기했다는 점을 들어 오히려 ‘일본해’ 단독표기의 정당성이 인정됐다고 보도했다.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일본 언론의 ‘일본해 호칭이 유지된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른 왜곡 보도”라고 반박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17일 외교부에 따르면 IHO 회원국들은 지난 16일 화상으로 개최된 ‘S-23의 미래에 대한 비공식 협의 결과 보고’ 관련 총회 토의에서 해도집 ‘S-130’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마티아스 요나스 IHO 사무총장이 보고한 S-130은 기존 해도집인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의 개정판이다. 바다를 명칭 대신 고유 식별번호로 표기한다는 것이 핵심이다.‘일본해’ 명칭은 1929년 S-23 초판 때부터 표기돼왔다. 한국 정부는 1997년부터 ‘동해’ 병기를 주장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일본 정부의 ‘일본해’ 단독 표기 주장의 근거도 S-23 해도집이었다. 한·일 양국은 그동안 이견을 좁히지 못했지만 IHO가 번호로 바다 명칭을 표기하는 방식을 제안하며 절충점이 마련됐다.
IHO는 총회 결과를 회원국에 서면으로 회람한 뒤 12월 1일께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IHO는 ‘일본해’ 명칭을 담은 기존의 S-23은 출판물로만 공개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IHO 사무총장 보고서상 제안에서도 S-23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역사적 변천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에 나온 출판물로서만 공개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동해 명칭을 둘러싼 한·일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IHO 사무국장 안에는 S-23을 “계속해서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다”고 명기했다는 점을 들어 오히려 ‘일본해’ 단독표기의 정당성이 인정됐다고 보도했다.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일본 언론의 ‘일본해 호칭이 유지된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른 왜곡 보도”라고 반박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