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보' 뇌 기능부터 달랐다…자기조절능력 5배 차이

서울대병원·서울대 연구팀 발표
개인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뇌 기능 간 연결 강도가 다르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보수적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은 진보적 성향을 가진 사람보다 뇌의 심리적 안정성이 5배 높았다.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장대익·김택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연구팀은 성인 106명의 정치성향에 따른 뇌 기능 네트워크를 분석했더니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리포트 최신호에 실렸다.
권준수 교수(왼쪽), 김택완 연구원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보수와 중도, 진보 정치성향을 나눈 뒤 이들의 뇌 기능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심리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뇌 영역 사이 신호전달 체계가 정치성향에 따라 달랐다.

뇌는 여러 신경망과의 다양한 연결을 통해 주변 어려움에 적응한다. 이번 조사에서 보수 성향인 사람은 자기조절능력이나 회복탄력성과 관련 있는 뇌 기능적 연결성이 진보 성향인 사람보다 5배 높았다. 보수 성향인 사람의 뇌가 진보 성향인 사람의 뇌보다 심리적 안정성이 높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진보와 보수 성향인 사람은 정치적 쟁점을 두고 대립한다. 진보는 사회적 평등과 같은 ‘공평성’을 중시하지만 보수는 경제적 안정이나 안보 등 ‘조직 안정성’에 무게를 둔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외국에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정치 생각의 차이는 사회 문제를 받아 들이는 심리 차이에서 비롯된다. 진보 성향인 사람은 모호하고 새로운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보수적인 사람은 위험한 자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앞서 영국 엑서터대와 미국 캘리포니아대(UCSD) 연구팀이 민주당원과 공화당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보수층인 공화당원은 위험한 의사결정을 할 때 뇌의 편도체가 지나치게 활성화되고 섬피질 활성도는 줄었다. 위험자극에 보수의 뇌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정치성향에 따른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한 첫 결과다. 정치 성향에 따라 뇌의 기능적 연결망도 다르게 설계됐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다. 김택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연구원은 "정치적 성향에 따른 '생각의 기반'이 다르다는 것을 안다면 다른 성향의 사람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권 교수는 "정치 성향에 따라 뇌기능의 차이가 생긴 것인지, 뇌기능 차이로 인해 정치적 성향이 달라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며 "다만 정치적 입장에 따라 뇌의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