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모더나 뜨자 '찬밥'된 中 백신…제약주 일제히 급락
입력
수정
화이자·모더나 백신 효과 소식에 주가 급락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자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사들을 지원해 개발도상국 시장을 선점하도록 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인해 중국 제약업체들의 주가가 그동안 고공행진을 해왔다"고 분석했다. 데이터 분석업체 윈드에 따르면 중국 백신 제조업체들의 시가총액은 올해에만 125% 증가해 1조위안(약 168조원)을 넘어섰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코로나19 백신 개발사 칸시노바이오로직스의 시가총액은 올 들어서만 480% 넘게 급증했다.
중국의 제약업체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백신 연구를 급속히 진전시키면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중국에서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해외에서 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임상시험 대상국과 백신 가격 및 유통 방법을 놓고 협상이 길어지면서 최종 임상시험이 계속 지연돼왔다.칸시노는 파키스탄과 러시아에 이어 지난 7일 멕시코에서 최종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화이자가 임상 3상 중간 분석 결과에서 백신의 효능이 90%가 넘었다고 밝히자 칸시노의 시가총액은 7.5% 줄었다. 약 7억3000만달러(8055억원)이 증발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중국 제약업체 주가에 분명이 거품이 끼었다"고 지적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