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대기' 현실 되나…"수도권 중환자 병상 1주내 소진"

환자치료 위한 의료자원 관리 '빨간불'
중앙임상위 "12월 둘째 주부터 수도권 중환자 병상 부족"
정부 "병상 운영 인력 충원 어려움…의료진 확보 시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하루만에 다시 300명대를 기록한 24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중증 이상의 환자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병상 및 의료진 부족 문제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으면서 환자치료를 위한 의료자원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가 코로나19 확진자가 매일 300명대씩 발생하는 현 추세라면 1주 후 수도권 잔여 중환자 병상이 모두 소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로 인해 12월 둘째 주에는 수도권에서 가용 가능한 중환자 병상이 아예 없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23일 기준 수도권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수는 125개다. 이는 지난 8~9월 수도권 코로나19 1차 유행 시 운영됐던 최대병상수 145개보다 약 20개 정도 적은 수준이다.

중앙임상위 "12월 둘째 주부터 수도권 중환자 병상 부족"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 기획조정실장·코로나19 공동대응상황실장은 이날 서울 중구 노보텔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추세대로 수도권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증가한다면 12월 둘째 주부터는 수도권 중환자 병상 부족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남은 중환자 병상 25개는 최근 2주간 환자 발생 추이를 봤을 때 앞으로 1주 정도면 소진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그는 "올해 3월부터 시작된 수도권 코로나19의 1차 유행 시 사용했던 연령별 중환자 발생률을 적용했을 때, 최근 2주간 수도권 신규확진자 중에서는 총 46명의 중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수도권 1차 유행 때처럼 운영 가능한 전체 중환자 병상 수를 다시 145개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 추가로 1주일 정도는 시간적 여유를 더 가질 수는 있다"고 강조했다.
24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선별진료소 앞이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주영수 실장은 △ 중환자 치료 능력을 갖춘 상급종합병원의 병상 제공 협조 △ 중증 치료가 필요한 환자만 중환자실에 재원 △ 추가 병상 신설 △ 의료인력의 개인보호구 적정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주영수 실장은 "자가(재택) 치료 기준을 마련해 무증상 혹은 경증환자들의 자가치료 적용을 시행하고, 상급 치료기관에서 생활치료센터로 이전하는 흐름을 제시하는 지침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며 "요양시설, 장애인 시설 등에서의 집단발병에 대응하기 위해 시설종사자들의 선제적 코로나19 감염 파악을 위한 신속 항원검사 등 새로운 진단도구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병상 운영 인력 충원 어려움…의료진 확보 시급"

정부는 병상 확보뿐만 아니라 병상을 운영하는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시급한 문제라고 판단했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4일 오전 기자들과 설명회를 갖고 "중환자 병상 운영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의료 인력 확보"라며 "병상 확보도 중요하지만 병상을 운용할 의사나 간호사 인력을 충원하는 어려움도 있다"고 밝혔다.

윤태호 반장은 "병상 확보 속도와 함께 인력 증가가 맞아야 실제 병상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라며 "9월부터 중환자 간호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연말까지 400명 양성할 예정이다. 현재 절반 정도의 인력이 교육을 통해 확보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25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검사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날 0시 기준 위중·중증 환자 수는 79명으로 집계됐다. 에크모(체외막산소화장치·ECMO) 또는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치료 행위가 이뤄지거나 산소마스크 치료를 받을 정도로 상태가 심각한 경우다. 이런 환자들은 장비 동원은 물론 전문 의료진이 동원되는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한 이들로, 병상과 의료진 두 조건을 모두 부합해야만 치료가 가능하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