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증권사, 위탁매매 의존도 더 높아져"
입력
수정
지면A23
디지털 자산관리 비중 늘어난코로나19 확산 이후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디지털 혁신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한국 증권업계는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의존도가 커지면서 여전히 ‘천수답’ 경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IB들과 대조적
25일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펴낸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증권업의 디지털 혁신 방향 및 시사점’을 보면 골드만삭스 등 12개 글로벌 IB는 올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비교적 고른 수익을 냈다. 상반기 기준 부문별 수익비중은 채권·외환·상품(FICC) 38%, 자산관리 24%, IB 20%, 자기자본투자(PI) 등 기타 18% 순이다. 자산관리 부문의 상승세가 눈에 띈다. 글로벌 IB의 자산관리 수익 비중은 2010년 13%에서 지난해 22%, 올 상반기 24%로 높아졌다.
한국 증권업계의 상반기 부문별 수익비중은 위탁매매 44%, 자기매매(트레이딩) 27%, IB 23%, 자산관리 6% 순이었다.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 열풍에 힘입어 지난해에 비해 위탁매매 비중이 11%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글로벌 IB들과 달리 자산관리 비중은 2010년 13%에서 지난해 7%, 올 상반기 6%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 증권사들의 수익성이 여전히 낮은 건 위탁매매 등 전통적 사업부문에 의존하면서 자산관리 부문의 수익 창출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2분기 기준 찰스슈워브,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의 자기자본이익률(ROE: 순이익/자기자본)은 9~14% 수준이다. 반면 한국 증권업계의 2분기 평균 ROE는 7%에 그쳤다.글로벌 IB들은 수년 전부터 디지털 전환을 기치로 비대면 자산관리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에 대규모 투자를 해왔다. 찰스슈워브는 올초 개인들의 연금계좌에서 매월 인출 가능한 금액을 산출한 뒤 고객 성향에 맞게 상장지수펀드(ETF) 포트폴리오를 자동매매하는 서비스를 출시했다. 월 30달러짜리 구독형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도 선보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도이체방크, 로빈후드 등도 다양한 온라인 자산관리 솔루션으로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