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비대면시대 농축수산물 사이버 거래 확대…스마트팜 앞당긴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착공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농식품부 제공
농림축산식품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농업 생산·유통의 스마트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속도를 내고 있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해 농업 선진화를 꾀하고 있다.

스마트 농업 예산 대거 증액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회에 제출된 내년도 농식품부 예산·기금안은 올해보다 2.3% 증액된 16조1324억원이다. 농식품부는 신규 예산을 디지털 혁신과 농업의 스마트화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비대면·디지털 경제 시대에 맞춰 농업 생산·유통 전반의 스마트·디지털화를 적극 촉진하고 관련 분야의 창업 활성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온라인 농축산물 도매 거래를 확대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등 유통구조 효율화 및 수급 안정 지원에 32억원을 신규 편성했다.또 178억원을 투입해 차세대 기술 연구를 지원하는 등 스마트 농업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선다. 청년농 육성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 확대, 국내 기업의 스마트팜 해외 진출 패키지 지원 강화를 위한 예산도 올해보다 늘릴 방침이다. 농업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1인 가구 및 비대면 소비 증가를 비롯한 식품시장 변화 등 새로운 수요에 대응한 제품 개발도 지원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126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농촌인력중개센터는 올해 70곳에서 내년 130곳으로 확충한다. 도시민의 농업 분야 일자리 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농작업 인력의 효과적인 수급을 위해서다. 귀농·귀촌 희망자에 농업 일자리 연계 교육을 지원하고 ‘농촌 미리 살아보기’ 등 지방자치단체 지원 사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국가발전전략으로 추진되는 디지털 및 그린 뉴딜 사업에도 적극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본격 가동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을 주도할 ‘스마트팜 혁신밸리’ 육성에 더 속도를 내기로 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팜 7000㏊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생산·교육·연구기능이 집약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 경남 밀양, 전남 고흥 등에 들어선다.농식품부는 최근 고흥과 밀양에서 스마트팜 주요 실증단지, 지원센터 등 핵심 시설을 착공했다. 2022년 준공이 목표다. 정부는 이를 거점으로 임대형 스마트팜 등 인프라를 조성하고 창업보육센터를 통한 교육 등을 통해 농업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중장기적으로 ‘스마트팜 패키지 수출’을 추진해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두겠다는 전략이다.

농식품부는 변화를 주도할 핵심으로 청년 농업인을 꼽고 있다. 청년 농업인을 적극 육성해 연구개발(R&D)과 전·후방 산업 구축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청년 창업과 산업 생태계 조성의 거점이 될 것”이라며 “우리 농업·농촌의 혁신성장과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에서도 디지털 농업 추진

농업의 디지털화는 한국만의 이슈가 아니다. 세계적으로도 ‘디지털 농식품 플랫폼’ 설치 등 농업의 디지털화가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지난 7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이사회가 디지털 농업을 위한 국제적인 협의체(플랫폼)를 FAO에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한 게 대표적이다. 농식품부는 코로나19가 농식품 수요·공급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글로벌 디지털 농업 플랫폼 설치와 국제적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견해에 동의했다.

FAO 이사회에서는 한국의 디지털 농업 경험도 주목받았다. 주원철 농식품부 국제협력총괄과장은 이사회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한 한국의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정책 △개발도상국 대상 스마트팜 기술 전수 사업(ODA) 경험 등을 발표했다.

이달 초 서울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2020 지속가능한 농업 개발을 위한 글로벌 ODA 포럼’에서도 스마트 농업이 주요 주제 중 하나였다. 참석자들은 ‘스마트 농업’을 주제로 비대면 디지털 전환의 농업 부문 영향, 스마트 농업 지원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