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종이에 새긴 신뢰'…화폐는 진화중

커버스토리

돌덩어리·조개껍질…금화·은화로
지폐에서 OO페이·가상화폐까지 등장
사진=연합뉴스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이 최근 1단위(BTC)당 2000만원대 가격으로 거래되며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다. 가상공간에서 임의로 만들어진 가상화폐를 지폐나 동전 같은 화폐로 볼 수 있느냐는 논쟁이다.

비트코인 거래업체인 빗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9일 2000만원대의 가격을 나타냈다. 비트코인의 국내 시세가 2000만원대를 보인 것은 2018년 1월 이후 2년10개월 만으로 올해 초 832만원이었던 데 비하면 급격한 상승세다. 시중에 돈이 넘쳐나고 페이팔, JP모간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잇달아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에 뛰어드는 데다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친(親)가상화폐 정책을 펴는 등 각국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발행 움직임이 빨라지리라는 관측 때문이다.비트코인은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만들어진 가상화폐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전 세계 사용자의 서버에 거래내역이 암호화돼 저장되어 위·변조가 어렵다. 그러나 조직화된 발행주체가 없다는 점에서 화폐가 아니라는 주장이 만만찮다. 국내에서는 비트코인으로 물건을 살 수 있는 곳이 거의 없다.

화폐는 상품의 가치를 매기는 척도이자 재화의 교환 수단이 되는 매개체다. 또한 오랜 기간 가치를 저장하는 저축의 기능을 갖기도 한다. 화폐가 안정적으로 유통되려면 각국 중앙정부나 기관의 인위적 통제가 필요하다. 대표적 화폐인 지폐나 주화가 종이쪼가리나 소량의 금속덩어리가 아니라 물건을 사거나 물건 가치만큼을 표시하는 단위로 쓰이려면 그 사용을 중앙집권화된 누군가가 보장해야 한다.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없는 금화나 은화가 오랫동안 화폐로 사용된 이유다.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지폐가 화폐로 인정받는 것도 중세 이후 중앙집권화된 국가의 힘이 강해지면서부터다. 이 때문에 화폐는 ‘금속·종이에 새긴 신뢰’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가가 시중에 풀리는 화폐의 총량인 통화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화폐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오늘날 현금을 들고 다니는 사람이 거의 없고, 결제나 송금이 대부분 삼성페이 등 디지털 방식으로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실물로서의 화폐는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씨티은행이 최근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을 ‘21세기의 금(金)’으로 표현하는 등 가상공간에서 디지털화폐가 본격화되리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화폐란 무엇인지 4, 5면에서 알아보자.

정태웅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