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가지도 넘는 대안 만들 수 있다? 강성부 대표는 솔직히 답해야 합니다
입력
수정
100가지도 넘는 대안 만들 수 있다? 강성부 대표는 솔직히 답해야 합니다
2020년 11월 27일1. KCGI가 지금까지 제시한 대안은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KCGI가 지금까지 내 놓은 대안은 고작 ▲사채발행 ▲주주배정 유상증자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조달 ▲대한항공에 직접 유상증자 등에 불과합니다.
사채 발행은 원리금 상환 부담의 규모와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주장입니다. 또한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2~3개월이 걸리는 시간적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KCGI가 야기한 경영권 분쟁 이슈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높게 주가가 형성돼 필요자금 조달이 불분명합니다. 자산 매각 방식 또한 적시에 필요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냉각으로 적정 투자자를 찾기도 어렵고, 제 값을 받고 팔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산업은행이 대한항공에 직접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KCGI의 주장 또한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유지 조건을 충족시지키 못해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만약 산업은행이 유상증자로 대한항공에 직접 8000억원을 투입하고, 한진칼이 대한항공의 2.5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한진칼 지분은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조건인 20% 미만으로 떨어집니다.
결론적으로 산업은행은 견제·감시를 위해 자본 참여 방식으로 보통주식을 취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3자배정 신주발행 외에는 방안이 없습니다. 이와 같이 상환의무의 부담이 없는 자기자본 확보 방안이 있는데도, 원리금 상환의무가 따르는 사채 발행이나 지속적 수익원인 자산매각을 하라는 주장은 회사의 이익보다는 지분율 지키기만 급급한 이기적 주장입니다.
2. 대안을 100개 넘게 댈 수 있다는 강성부 대표… 자기 말에 책임을 져야 할 시간입니다.강성부 대표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항공업을 재편하기 위한 대안을 100가지도 넘게 만들 수 있다”며 “3자배정 유상증자에는 불가피성이 없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강성부 대표는 더 이상 말로만 대안이 있다고 주장하지 말고, 만들 수 있다던 100가지도 넘는 대안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KCGI가 구체적이라며 제시했던 대안들이 법리적으로 맞지도 않고 현실성 없는 대안임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진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개라도 더 대안을 내 놓을 수 있다는 강성부 대표의 주장은 ‘법도 모르는 아마추어’임을 자인하는 것입니다.
또한 “한진칼 본사 사옥부터 팔아야 하지 않느냐”는 강성부 대표의 언론 인터뷰 언급은 끝끝내 숨기고 싶었던 투기세력의 모습을 스스로 드러낸 것입니다. 한진그룹 임직원들의 일터가 되는 자산을 아무렇지도 않게 팔라고 요구하는 것 자체가, 일자리를 가볍게 보고 사익만을 추구하는 투기 세력임을 방증합니다.항공산업에 무지한 사모펀드 대표인 강성부씨가 항공산업 전문가들과 정부·채권단이 2개월 넘게 머리를 맞대고 내 놓은 이번 통합 방안을 능가하는 100가지 이상의 대안을 과연 내 놓을 수 있을지 심히 궁금합니다.
3. 한진그룹은 국가 기간산업인의 ‘생존’, 그리고 10만 일자리를 지켜내겠습니다.
한진그룹은 대규모 정부의 정책자금이 수반되는 이번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무겁고 겸허히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에 한진그룹은 KCGI와 같은 투기·음해 세력의 방해에 흔들리지 않고 오롯이 국가 기간산업인 항공산업이 어떠한 생태계를 구축해 ‘생존’할 수 있을지, 이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이후 세계 항공업계를 주도할 수 있을지에만 집중하겠습니다. 또한 10만여명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이번 통합 과정을 성실히 수행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11월 27일1. KCGI가 지금까지 제시한 대안은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KCGI가 지금까지 내 놓은 대안은 고작 ▲사채발행 ▲주주배정 유상증자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조달 ▲대한항공에 직접 유상증자 등에 불과합니다.
사채 발행은 원리금 상환 부담의 규모와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주장입니다. 또한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2~3개월이 걸리는 시간적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KCGI가 야기한 경영권 분쟁 이슈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높게 주가가 형성돼 필요자금 조달이 불분명합니다. 자산 매각 방식 또한 적시에 필요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냉각으로 적정 투자자를 찾기도 어렵고, 제 값을 받고 팔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산업은행이 대한항공에 직접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KCGI의 주장 또한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유지 조건을 충족시지키 못해 실현 가능성이 없습니다. 만약 산업은행이 유상증자로 대한항공에 직접 8000억원을 투입하고, 한진칼이 대한항공의 2.5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한진칼 지분은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조건인 20% 미만으로 떨어집니다.
결론적으로 산업은행은 견제·감시를 위해 자본 참여 방식으로 보통주식을 취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3자배정 신주발행 외에는 방안이 없습니다. 이와 같이 상환의무의 부담이 없는 자기자본 확보 방안이 있는데도, 원리금 상환의무가 따르는 사채 발행이나 지속적 수익원인 자산매각을 하라는 주장은 회사의 이익보다는 지분율 지키기만 급급한 이기적 주장입니다.
2. 대안을 100개 넘게 댈 수 있다는 강성부 대표… 자기 말에 책임을 져야 할 시간입니다.강성부 대표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항공업을 재편하기 위한 대안을 100가지도 넘게 만들 수 있다”며 “3자배정 유상증자에는 불가피성이 없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강성부 대표는 더 이상 말로만 대안이 있다고 주장하지 말고, 만들 수 있다던 100가지도 넘는 대안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KCGI가 구체적이라며 제시했던 대안들이 법리적으로 맞지도 않고 현실성 없는 대안임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진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개라도 더 대안을 내 놓을 수 있다는 강성부 대표의 주장은 ‘법도 모르는 아마추어’임을 자인하는 것입니다.
또한 “한진칼 본사 사옥부터 팔아야 하지 않느냐”는 강성부 대표의 언론 인터뷰 언급은 끝끝내 숨기고 싶었던 투기세력의 모습을 스스로 드러낸 것입니다. 한진그룹 임직원들의 일터가 되는 자산을 아무렇지도 않게 팔라고 요구하는 것 자체가, 일자리를 가볍게 보고 사익만을 추구하는 투기 세력임을 방증합니다.항공산업에 무지한 사모펀드 대표인 강성부씨가 항공산업 전문가들과 정부·채권단이 2개월 넘게 머리를 맞대고 내 놓은 이번 통합 방안을 능가하는 100가지 이상의 대안을 과연 내 놓을 수 있을지 심히 궁금합니다.
3. 한진그룹은 국가 기간산업인의 ‘생존’, 그리고 10만 일자리를 지켜내겠습니다.
한진그룹은 대규모 정부의 정책자금이 수반되는 이번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무겁고 겸허히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에 한진그룹은 KCGI와 같은 투기·음해 세력의 방해에 흔들리지 않고 오롯이 국가 기간산업인 항공산업이 어떠한 생태계를 구축해 ‘생존’할 수 있을지, 이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이후 세계 항공업계를 주도할 수 있을지에만 집중하겠습니다. 또한 10만여명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이번 통합 과정을 성실히 수행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뉴스제공=대한항공, 기업이 작성하여 배포한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