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제조업 부가가치 IMF 후 첫 감소…출하액·종사자수↓
입력
수정
기저효과+반도체 가격·유가 하락 등 영향…조선 출하액은 8년 만에 증가지난해 제조업 부가가치가 1998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제조업 종사자와 출하액 역시 함께 줄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작년 광업·제조업(이하 종사자 10인 이상 사업체) 부가가치는 559조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2.1%) 이후 최대다.광업·제조업 부가가치가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7년 이래 1998년, 2013년, 2019년 단 세 차례에 불과하다.
광업·제조업 가운데 광업 비중이 미미한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제조업 부가가치의 감소다.
출하액은 1천545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종사자 수도 294만명으로 전년보다 0.9% 줄었다.최근 10년간 출하액과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3.2%, 1.8%인 점을 고려하면 역시 크게 저조한 수준이다.
사업체 수는 6만9천975개로 0.2% 증가하면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지난해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유가 하락도 이어지면서 제조업 내 비중이 큰 전자·화학 산업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지난해 D램 등 반도체 부문은 공급 과잉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출하액이 전년보다 9조원 줄고 부가가치도 4조3천억원 감소했다.
다만 이 과장은 "2017∼2018년 출하액이나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기저효과도 어느 정도 있었다"면서 "지난해 한 차례 지표가 떨어졌다고 해서 업황이 크게 부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제조업 사업체당 출하액은 220억9천만원, 부가가치는 8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씩 줄었다.업종별로 보면 부가가치는 전자(-6.0%), 석유정제(-5.7%), 화학(-5.1%), 기계·장비(-4.1%) 등에서 감소했다.
반면 의약품(10.5%), 식료품(7.3%), 자동차(4.0%) 등은 늘었다.
출하액 역시 전자(-6.8%), 화학(-5.3%), 석유정제(-5.1%), 기계·장비( -3.1%) 등에서 감소한 반면 조선(7.0%), 전기장비(5.7%), 자동차(3.6%) 등은 늘었다.
특히 조선 업종 출하액은 47조950억원으로 전년보다 3조630억원 늘면서 2011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앞서 조선업 출하액은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 연속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수주 증가로 선박 건조량이 늘면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차 산업 역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친환경차 등 고가 차량 판매가 늘면서 출하액이 증가했다.
종사자 수의 경우 섬유(-5.2%), 고무·플라스틱(-4.8%), 자동차(-4.2%), 전자(-3.8%) 등에서 줄고 조선(7.2%), 의료·정밀(6.7%) 등에서 늘었다.
이 과장은 "섬유·의복과 휴대폰 등 노동 집약적인 업종들이 생산 기지를 해외로 돌리면서 종사자 수가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도별 광업·제조업 주요 지표 현황(단위: 천개, 만명, 조원, %)
┌────┬─────┬────┬────┬────┬───────────┐
│ 구분 │ 2009년 │ 2013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 │ │ │ ├────┬──────┤
│ │ │ │ │ │ 전년비 │ 연평균 │
│ │ │ │ │ │ │(2009~2019) │
├────┼─────┼────┼────┼────┼────┼──────┤
│사업체수│ 58 │ 66 │ 70 │ 70 │ 0.2 │ 1.8 │
├────┼─────┼────┼────┼────┼────┼──────┤
│종사자수│ 247 │ 282 │ 297 │ 294 │ -0.9 │ 1.8 │
├────┼─────┼────┼────┼────┼────┼──────┤
│ 출하액 │ 1,126 │ 1,495 │ 1,567 │ 1,546 │ -1.4 │ 3.2 │
├────┼─────┼────┼────┼────┼────┼──────┤
│부가가치│ 376 │ 481 │ 568 │ 560 │ -1.4 │ 4.0 │
└────┴─────┴────┴────┴────┴────┴──────┘
(자료=통계청)
/연합뉴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작년 광업·제조업(이하 종사자 10인 이상 사업체) 부가가치는 559조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2.1%) 이후 최대다.광업·제조업 부가가치가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7년 이래 1998년, 2013년, 2019년 단 세 차례에 불과하다.
광업·제조업 가운데 광업 비중이 미미한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제조업 부가가치의 감소다.
출하액은 1천545조7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종사자 수도 294만명으로 전년보다 0.9% 줄었다.최근 10년간 출하액과 종사자 수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3.2%, 1.8%인 점을 고려하면 역시 크게 저조한 수준이다.
사업체 수는 6만9천975개로 0.2% 증가하면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지난해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유가 하락도 이어지면서 제조업 내 비중이 큰 전자·화학 산업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지난해 D램 등 반도체 부문은 공급 과잉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출하액이 전년보다 9조원 줄고 부가가치도 4조3천억원 감소했다.
다만 이 과장은 "2017∼2018년 출하액이나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기저효과도 어느 정도 있었다"면서 "지난해 한 차례 지표가 떨어졌다고 해서 업황이 크게 부진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제조업 사업체당 출하액은 220억9천만원, 부가가치는 8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씩 줄었다.업종별로 보면 부가가치는 전자(-6.0%), 석유정제(-5.7%), 화학(-5.1%), 기계·장비(-4.1%) 등에서 감소했다.
반면 의약품(10.5%), 식료품(7.3%), 자동차(4.0%) 등은 늘었다.
출하액 역시 전자(-6.8%), 화학(-5.3%), 석유정제(-5.1%), 기계·장비( -3.1%) 등에서 감소한 반면 조선(7.0%), 전기장비(5.7%), 자동차(3.6%) 등은 늘었다.
특히 조선 업종 출하액은 47조950억원으로 전년보다 3조630억원 늘면서 2011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앞서 조선업 출하액은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7년 연속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수주 증가로 선박 건조량이 늘면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차 산업 역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친환경차 등 고가 차량 판매가 늘면서 출하액이 증가했다.
종사자 수의 경우 섬유(-5.2%), 고무·플라스틱(-4.8%), 자동차(-4.2%), 전자(-3.8%) 등에서 줄고 조선(7.2%), 의료·정밀(6.7%) 등에서 늘었다.
이 과장은 "섬유·의복과 휴대폰 등 노동 집약적인 업종들이 생산 기지를 해외로 돌리면서 종사자 수가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도별 광업·제조업 주요 지표 현황(단위: 천개, 만명, 조원, %)
┌────┬─────┬────┬────┬────┬───────────┐
│ 구분 │ 2009년 │ 2013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 │ │ │ ├────┬──────┤
│ │ │ │ │ │ 전년비 │ 연평균 │
│ │ │ │ │ │ │(2009~2019) │
├────┼─────┼────┼────┼────┼────┼──────┤
│사업체수│ 58 │ 66 │ 70 │ 70 │ 0.2 │ 1.8 │
├────┼─────┼────┼────┼────┼────┼──────┤
│종사자수│ 247 │ 282 │ 297 │ 294 │ -0.9 │ 1.8 │
├────┼─────┼────┼────┼────┼────┼──────┤
│ 출하액 │ 1,126 │ 1,495 │ 1,567 │ 1,546 │ -1.4 │ 3.2 │
├────┼─────┼────┼────┼────┼────┼──────┤
│부가가치│ 376 │ 481 │ 568 │ 560 │ -1.4 │ 4.0 │
└────┴─────┴────┴────┴────┴────┴──────┘
(자료=통계청)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