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구축' 中企, 생산성 20%·품질 30%개선, 원가 15%절감
입력
수정
중기중앙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中企 만족도 86.4%"
화학·플라스틱'작업환경 개선',식료품'생산성 향상',금속'품질 개선'
"수작업비중 높을수록 도입시 성과 커"…업종별 스마트화도 '성과'
![제2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에 전시된 자동화 설비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ZN.24390088.1.jpg)
중기중앙회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486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얻게 된 성과에 대해 조사한 결과(복수 응답) ‘작업환경 개선’이 5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산성 증가(40.9%)’, ‘품질 개선(31.7%)’, ‘원가 절감(26.5%)’ 순으로 나타났다.‘작업환경 개선’응답 비율은 ‘석유, 화학제품 및 플라스틱 제조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생산성 증가’는 ‘식료품제조업’에서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으며 평균 생산성 증가는 19.8%인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 개선은 ‘1차 금속 및 금속가공 제조업’에서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고, 평균 품질 개선은 29.5%인 것으로 집계됐다.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들의 평균 원가 절감 정도는 15.5%인 것으로 기록됐다.
전체적으로 응답기업의 86.4%가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사업에 투입된 대기업 제조현장 전문가의 멘토링에 대한 만족도는 88.8%로 나타났다. 업종별(복수응답)로는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이 93.0%로 가장 높았고, ‘1차 금속 및 금속가공 제조업’이 83.6%,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이 82.0%로 뒤를 이었다. 조동석 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지원실장은 "수작업 비중이 높은 업종일수록 생산성 향상 및 작업환경 개선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중기중앙회의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사업 킥오프 회의. 중기중앙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011/01.24565704.1.jpg)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